22개국 1만1천명 조사…김치·비빔밥·라면 순
한식 만족도 94.2%…재방문 의향 80.6% 역대 최고
외국 소비자들이 한국 음식 가운데 치킨을 가장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열 사람 가운데 아홉 사람은 한식에 대해 만족감을 표시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식진흥원은 '2025년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22개 해외 주요 도시의 소비자 1만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최근 1년 동안 자주 먹은 한식'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8.3%는 '한국식 치킨'을 꼽았다. 김치(28.0%), 비빔밥(19.9%), 라면(16.6%), 불고기(14.0%)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선호하는 한식'에 대한 대답은 한국식 치킨(14.0%), 김치(9.5%), 비빔밥(8.2%), 불고기(5.6%), 라면(5.1%) 등의 순이었다.
'한식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는지"를 묻는 항목에는 68.6%가 긍정적인 답변을 했다. 지난해보다 2.9%포인트(p)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식을 먹어 본 사람의 94.2%는 '만족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이 수치는 대부분의 국가·도시에서 90% 이상을 넘었다. '앞으로 다시 한식을 먹겠다'는 의향도 지난해에 비해 4.5%p 상승한 80.6%에 이르렀다.
최근 1년 동안 현지 한식당을 찾은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71.7%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93.1%는 '방문한 식당이 좋았다', 90.7%는 '다시 찾을 의사가 있다'고 대답했다.
도시별로는 호치민, 마닐라, 상하이, 자카르타, 베이징, 런던, 두바이, 상파울루, 시드니, 홍콩에서 한식당에 대한 만족도와 재방문 의향이 모두 평균보다 높았다.
반면 도쿄는 지난해에 이어 만족도와 재방문 의사 표현 비율이 가장 낮았다. 로마, 파리, 타이베이, 싱가포르, 토론토 등도 한식당에 대한 호감도가 그다지 좋지 않았다.
'한류 콘텐츠를 경험한 후 한식을 먹어보거나 한식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는 응답은 65.1%로 집계됐다. 이는 음식과 문화의 동반 상승효과를 보여주는 것이어서 앞으로 정부가 한식 수요 확대를 위한 정책 수립 때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지목됐다.
정경석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은 "한식이 '건강하고 신선한 음식'으로 자리 잡음에 따라 전 세계 소비자들의 긍정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며 "지역별 맞춤형 품목 홍보, 음식점 경쟁력 강화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한식의 위상을 더 높이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