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식 디젤 트럭으로 축산물 배달업을 하는 이모 씨는 "기름값이 오르면 바로 수익이 줄어든다. 기름값이 올랐다고 해서 요금을 바로 높일 수는 없으니 기사들 수익만 줄어드는 것"이라며 "경기가 나빠 배송 물량도 줄어드는 데 비용만 늘어나는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환율 상승, 유류세 환원 등의 여파로 석유 가격이 뛰어오르면서 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
20일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 소비자물가 지수는 117.34(2020년=100)로 전년 대비 2.3% 상승했다. 지난 7월(2.0%) 이후 1%대로 내렸던 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다시 2%대로 오른 것이다. 경북 소비자물가 지수는 지난달 118.10으로 전년 대비 2.4%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대구와 경북 모두 공업제품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물가 상승을 부추겼다. 지난달 대구의 휘발유 가격은 1년 전보다 5.2% 상승했고, 경유는 9.1% 치솟았다. 경북에선 휘발유 가격이 5.2% 올랐고, 경윳값 상승 폭은 이보다 높은 8.7%를 기록했다.
경유 가격은 빠르게 상승해 2년 만에 최고 수준에 이른 상황이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이날 리터(ℓ)당 자동차용 경유 판매가격은 대구에서 1,624.69원으로 하루 전보다 4.45원, 경북에선 1,634.57원으로 4.44원 각각 뛰었다. 휘발유 가격은 대구가 평균 1,714.71원, 경북이 1,727.98원으로 각각 3.36원, 3.29원 올라섰다.
이 같은 국내유가 상승세는 국제유가·환율 변동에 따른 원유 수입단가 상승, 유류세 인하율 축소 등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정부는 '유류세 한시적 인하 조치'를 내달 31일까지 2개월 연장하면서 이번 달 휘발유 인하율을 기존 10%에서 7%로, 경유 인하율을 15%에서 10%로 하향했다.
예정대로 내달 말 유류세 인하 조치가 종료되면 유가 추가 상승은 불가피해 보인다. 기름값이 물류·유통비 등에 영향을 주는 만큼 유가 상승에 따라 물가 상승세도 이어질 전망이다.
특히 경유 사용량이 많은 화물·운송업계에선 유가 변동으로 인한 시장 충격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유류세 인하 조치를 지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안성관 대구전세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은 "대형 버스는 일반 차량과 달리 유류비가 상당한데다, 다른 교통수단처럼 보조금도 없어 조금만 올라도 부담이 크다"며 "또 유류세 인하까지 종료될 경우 차량 운행에 있어 상당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보여 유류세 인하 종료는 다시 한 번 검토해봐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