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권리당원 권한 강화 시동...'당원 주권' 재차 강조
국힘도 공천 평가 기준에 '당 기여도' 포함돼
"타협 대신 뺄셈 정치가 '뉴노멀'로 자리잡아"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강성 지지층을 향한 여야의 구애가 계속되고 있다. 정치의 본질인 대화와 타협 대신 양당이 상대를 향한 비판의 수위만 높이며 극단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팬덤정치'가 자리 잡으면서 '정책 경쟁'은 실종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8일 '전국기초의회의원협의회·전국광역의회의원협의회 당대표와의 간담회'에서 "내년 지방선거 1차 예비경선에 권리당원 100%가 경선에 참여하는 것과 기초·광역의원 비례대표를 권리당원 100%로 뽑는 획기적인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취임 후 지속적으로 '당원 주권시대'를 강조했던 정 대표는 이를 통해 당원들의 '1인 1표제'를 현실화할 계획이다. 대의원 1표가 권리당원 20표 가치를 지니도록 하는 대의원제를 없애고, 모두가 '1표'만 행사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대의원의 영향력이 줄어들 경우 민주당 당원이 적은 영남과 강원 지역 등은 당 의사 결정에 대한 영향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앞서 정 대표는 지난 17일 권리당원의 표심을 강화하기 위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전 당원 투표에 부치기로 했다가 이를 번복하기도 했고, 초선 의원을 상대로 한 강연에서 친여 성향 커뮤니티인 딴지일보를 "바로미터이자 민심을 보는 척도"라고 발언해 논란을 키우기도 했다.
정 대표의 이 같은 행보는 본인의 정치적인 자산인 권리당원의 영향력을 키워 대표 연임까지 노리려는 행보로 분석된다. 지난 8월 전당대회에서도 정 대표가 대중성보다는 강성 지지층에 호소해 승리를 거둔 만큼 중도 확장 대신 세력 기반을 다지는 것이다.
강성에 호소하기 국민의힘도 마찬가지다. 국민의힘 당 선출직 공직자 평가혁신 태스크포스(TF)가 지난 17일 발표한 광역·기초단체장 평가체계에는 '당 기여 지표'가 정량지표로 포함돼 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는 취임 후 당에 대한 충성심을 뜻하는 '당성'을 줄곧 강조해오기도 했다.
이처럼 양당이 비슷한 행보를 보이면서 정치권에선 "정치가 후퇴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정치가 치열한 토론을 통해 최소한의 공통점을 찾는 행위가 아니라 어떻게든 서로를 가르는 뺄셈 정치가 이제 '뉴노멀'로 자리 잡았다"며 "이에 대한 피해는 고스란히 서민들의 몫이 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