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의 대표적인 이슬람 성지인 셰이크 자이드 그랜드 모스크에서 하얀 히잡을 쓴 김혜경 여사가 모습을 드러냈다. 머리에 두른 채 어깨로 흘러내리는 이 히잡은 걸프 지역 여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샤일라' 종류로 추정된다.
17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를 공식 방문 중인 이재명 대통령 내외는 모스크를 함께 찾았고, 김 여사는 흰색 히잡을 머리에 둘러 어깨 위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한 차림으로 등장했다. 이날 방문은 이슬람 문화와 종교 전통에 대한 존중의 의미를 담은 일정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측은 국민일보에 "상대국 문화를 존중하는 의미에서 쓴 것이고, 일종의 배려"라며 "UAE는 히잡 착용을 강제하지 않는 개방적 이슬람 국가지만, 외교적 배려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에서는 대통령이나 영부인이 히잡을 착용하는 모습을 두고 과거부터 꾸준히 찬반 논쟁이 있었다. 특히 여성 억압의 상징으로 보는 시각과 문화적 존중의 일환으로 해석하는 입장이 엇갈렸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2015년 같은 장소인 아부다비의 그랜드 모스크를 방문하면서 히잡을 착용했다. 이어 2016년 이란 국빈 방문 당시에는 시아파 전통이 강한 현지 문화를 감안해 이란식 히잡인 '루싸리'를 전 일정에 걸쳐 착용한 바 있다. 당시 박 전 대통령은 흰색 루싸리를 두르고 등장했으며, 이례적으로 순방의 모든 공식 일정에서 히잡을 유지한 첫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이에 대해 정치권과 일부 여성단체에서는 "첫 여성 대통령이 여성 억압의 도구를 착용한 것"이라며 비판을 제기한 바 있다.
문재인정부 시절에도 김정숙 여사가 2018년 UAE의 그랜드 모스크를 방문하면서 히잡 착용이 도마 위에 올랐다. 당시 김 여사는 흰색 히잡을 착용한 모습으로 포착됐고, 일부 야권 인사들은 과거 박 전 대통령의 히잡 착용을 비판했던 이들이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준석 당시 바른미래당 서울 노원병 당협위원장은 개인 SNS를 통해 "박 전 대통령이 중동 방문할 때 히잡을 썼다고 여성 억압의 상징을 착용했다느니, 여성 인권에 관심이 없다느니 이런저런 이야기를 했던 사람들이 조용한 걸 보니 히잡도 착한 히잡과 나쁜 히잡이 있는가 보다"고 했다. 당시 청와대는 "이슬람 종교 시설에 방문하는 것이라 예의상 착용한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정부에서는 김건희 여사가 2023년 UAE 그랜드 모스크를 방문하며 히잡의 일종인 '샤일라'를 착용했다. 샤일라는 걸프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스타일로, 천을 어깨에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는 히잡과는 달리 여러 번 목에 감싸는 형태가 특징이다.
히잡 착용을 둘러싼 정치적 해석은 한국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미셸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 부인은 2015년 사우디아라비아 방문 당시 히잡을 착용하지 않고 바지를 입고 나타났다. 이를 두고 일각에선 오바마 여사가 복장을 통해 사우디의 여성 인권 문제를 간접적으로 비판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반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부인 질 바이든 여사는 샤일라를 두르고 모스크를 방문한 뒤 "서로 다른 종교를 인정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공개된 현지 언론 '알 이티하드' 서면 인터뷰에서 취임 후 첫 중동 순방지로 UAE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 "한국과 UAE의 관계를 심화·발전시키겠다는 한국 정부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또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흐얀 UAE 대통령과 나는 기존의 4대 핵심 협력 분야인 투자·방위산업·원자력·에너지에 더해 인공지능(AI), 헬스, 문화 등이 포함된 미래지향적 첨단기술 분야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