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건설경기체감지수'(CoSI)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건설경기체감지수는 언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경기 체감을 정량적으로 계량한 지표다. 이 지수는 언론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경기 관련 단어와 연관 패턴을 분석, 건설 경기의 사회적 체감 흐름을 수치로 나타낸다.
건산연은 이날 공개한 '언론 빅데이터를 활용한 건설경기체감지수(CoSI) 개발 연구' 보고서에서 언론 보도에서 추출한 2천300만여개 단어 가운데 건설경기와 연관성이 높은 2천80개 단어를 선별, 단어별 체감 점수(부정·중립·긍정)를 부여한 뒤 빈도와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해 지수를 만들어 낸다.
지난해 10월부터 올 9월까지 12개월간 언론 빅데이터 분석 결과 ▷'가계→대출' ▷'담보→대출·주택' ▷'규제→대출' ▷'공급→주택' ▷'매매→아파트' 등 금융·주택 관련 키워드가 반복적으로 연결되며 경기 체감의 핵심 축을 형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CoSI 주간 평균은 약 98.7로 중립선(100) 이하 흐름을 지속했고, 올해 2∼3분기에도 하방 흐름이 지속됐다. 가계부채, 금리 상승, 규제 부담 등 금융·정책 요인이 서울·아파트 중심의 주택시장 불안과 결합해 체감 경기를 낮춘 결과로 보인다고 건산연은 진단했다.
유위성 건산연 연구위원은 "CoSI는 사회적 여론과 건설경기 흐름을 연결하는 새로운 분석 틀"이라며 "경기 변화를 보다 민감하게 포착해 정책과 산업 의사결정의 대응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