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덕여대 학생 42% "래커시위 제거 비용, 학교 돈으로만 지워라"

입력 2025-11-13 19:38:4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53.1%, 교비와 모금 동시에 사용해야"

21일 서울 동덕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이동하고 있다. 동덕여대는 지난해 11월 남녀공학 전환 관련 학생들의 래커칠 등 시위로 인한 학교 측 피해 보상 문제로 의견 대립 중이다. 연합뉴스
21일 서울 동덕여대에서 열린 학위수여식에서 졸업생들이 이동하고 있다. 동덕여대는 지난해 11월 남녀공학 전환 관련 학생들의 래커칠 등 시위로 인한 학교 측 피해 보상 문제로 의견 대립 중이다. 연합뉴스

지난해 동덕여대 학생들이 공학 전환에 반대하며 교내에 래커칠과 점거 시위를 했던 얼룩이 아직 지워지지 않았다. 최근 동덕여대 재학생 중 약 42%는 캠퍼스를 복구하는 데 드는 비용 전액을 학교가 교비로 부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주동덕 제58대 중앙운영위원회(이하 중운위)가 지난 12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공개한 '시설복구위원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학생 725명 중 95.2%는 래커칠 미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래커칠 제거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선 ▷미관상 ▷학교 이미지 개선 ▷26학번 신입생이 곧 입학하기 때문 등이 줄을 이었다.. '교내 래커칠 시설 복구를 어느 시기에 시작하는 게 적절한가'라는 질문에는 85.5%의 학생이 다음달까지 복구를 희망한다고 답했다.

가장 관심이 쏠린 래커칠 제거 비용을 두고는 53.1%가 '교비와 모금을 동시에 해야 한다'고 답했고, 42.1%는 "소통하지 않은 학교가 원인을 제공했다"면서 교비로만 집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학교 측은 복구 비용을 약 54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와 관련해 중운위는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설복구위원회에서 래커칠을 지우는 것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시설복구에 대한 논의가 시작됐지만 아직 학내사안은 해결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지난 1일부터 6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다.

이번 설문 결과가 알려지자 온라인에서는 반응이 엇갈렸다. 누리꾼들은 "교비는 결국 학생들이 낸 등록금이다. 자신들 돈으로 복구하는 셈", "자업자득" 등의 관련 댓글도 이어졌다.

일부에서는 "시위에 가담하지 않은 신입생들의 등록금도 복구에 쓰인다면 불공평하다" 등 지적도 이어졌다. 특히 교육부가 각 대학에 지원하는 지원금도 고려하면 복구 비용 중 일부는 결국 국민이 세금으로 부담하게 되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왔다.

한편, 지난해 시위 직후 학교 측은 피해 금액을 최대 54억 원가량으로 추산하고 총학생회장 등 21명을 공동재물손괴, 업무방해 등 혐의로 고발했다. 다만, 이후 형사고소 취소서와 처벌불원서를 경찰에 제출했다.

그러나 경찰은 재물손괴와 업무방해 등 혐의가 반의사불벌죄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수사를 이어갔다. 경찰은 점거 농성 사건과 관련해 고소와 고발, 진정 등 총 75건을 접수해 38명을 입건했다. 폐쇄회로(CC)TV 등과 같은 자료가 있었던 22명은 업무방해, 퇴거불응, 재물손괴 등 혐의로 서울북부지검에 송치됐다. 경찰은 나머지 16명에 대해선 증거불충분으로 불송치 처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