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책연구원 "의사들, 1년에 292일 일한다"

입력 2025-11-13 13:21: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의사 1천382명 대상 조사…전공의는 3천700여시간 근무
의정연 "근무실태 파악해야 정확한 인력추계 가능"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사 수 부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실제 의사들의 근무 시간과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의견과 함께 의료계에서 조사한 의사들의 근무 시간이 공개됐다.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은 지난 12일 '의사인력 수급 추계에서의 새로운 쟁점'이라는 주제로 연 콘퍼런스에서 올해 9월 25일부터 10월 17일까지 전국 의사 1천382명을 대상으로 한 근무 시간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의료정책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조사에서 연간 근무시간은 2천301시간(근무일 수 292.6일)이었다. 종전 전국의사조사(KPS)에서 국내 진료 의사들의 연간 근무 시간은 2016년에 2천408시간, 2020년에 2천260시간이었다.

직역별로 보면 전공의(설문 참여 127명)의 연간 근무 시간이 3천700시간을 넘어 가장 많았다. 업무유형별 근무 시간은 진료·임상이 77.5%를 차지했고, 이어 행정(11.0%), 지도·교육(4.5%), 연구(4.1%) 등의 순이었다.

조사를 진행한 이정찬 의료정책연구원 부연구위원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의사들의 연간 진료 일수를 240일, 255일, 265일로 가정하고 분석해 의사가 부족하다고 결론 내렸다"며 "현재 조사 결과는 292.6일로, 실제 조사 결과를 반영하면 의사 수가 적정한지의 결론은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사들은 직업 특성상 주말과 공휴일에 근무하고, 야간 시간에도 진료한다"며 "의사 인력 추계에는 의사 직역의 특수성이 고려된 근무 일수를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장관 소속 독립 심의기구인 의사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올해 7월 말 구성한 뒤 격주로 회의를 열고 있으며 2027학년도 의과대학 정원 결정에 필요한 인력 추계 규모를 올해 안에 결론 내릴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