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여신·채권 등 금융자산 녹색성 검토 가능…그린워싱 방지·정책 연계 강화
iM뱅크(아이엠뱅크)는 12일 녹색금융 확산을 위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K-Taxonomy) 적합성 판단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는 온실가스 감축, 기후변화 적응, 물의 지속가능한 보전, 자원순환, 오염 방지 및 관리, 생물다양성 보전 등 6대 환경목표 달성을 위해 기여하는 경제활동을 분류하는 국가 기준이다.
iM뱅크의 이번 시스템은 여신, 투자, 채권 등의 금융상품이 녹색금융 요건에 부합하는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약 5개월간의 자체 개발 끝에 완성된 이 시스템은 기업의 경제활동별 녹색활동 기준과 배제·보호 기준을 명확히 구분해 금융기관의 녹색 적합성 평가를 지원한다.
특히 여신 취급 전 단계에서 녹색 여부를 선제적으로 검토할 수 있으며, 실행된 여신에 대해서도 사후 적합성 판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 핵심이다. iM뱅크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녹색여신, 녹색채권 발행, 녹색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다양한 녹색금융 활동의 효율성을 높이고, 정부의 생산적 금융 및 에너지 전환 정책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iM뱅크 관계자는 "이번 시스템은 K-Taxonomy 기준을 현장에서 손쉽게 적용하도록 돕는 실질적인 업무 지원 인프라"라며 "그린워싱(위장 환경경영)을 방지하고 진정한 녹색활동을 선별하는 체계를 구축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은행은 이 시스템을 통해 축적되는 적합성 판단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재생에너지, 저탄소 전환, 순환경제 등 정부의 녹색정책 방향에 부합하는 신규 금융상품과 대출 기회를 발굴할 계획이다.
황병우 iM뱅크 은행장은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사회 전환은 금융의 본질적 역할"이라며 "이번 시스템을 통해 경제와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고 녹색금융 생태계 확장에 선도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