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도면 보다 축소된 굴착 작업, 영천시·감리업체 '문제없다' 짬짜미
업계 관계자 "더 많은 수익 챙기기 하청업체 전형적 수법" 지적
경북 영천시에서 발주한 오수관로 정비사업 공사업체가 설계와 다른 시공으로 공사비 빼먹기 논란이 일고 있다.
정비사업을 관리감독하는 영천시와 감리업체는 이런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보여 공사업체 봐주기 의혹도 나온다.
12일 영천시 등에 따르면 해당 정비사업은 대창면 사리리 일원에 오수관로 신설 및 개별 정화조 폐쇄 등을 통해 금호강과 대창천 유역의 수질환경 개선을 위한 것이다.
사업 예산 74억여원을 투입해 2027년 1월까지 오수관로 8.4km를 신설하고 맨홀펌프장 7곳 및 169가구의 배수 설비를 설치한다.
올해 6월 1차 사업으로 A업체가 15억원에 공사를 수주했고 하도급사인 B업체에서 토목공사를 하고 있다.
문제는 B업체에서 시공한 일부 구간의 오수관로 공사가 설계도면과 맞지 않다는데 있다.
설계도면에는 오수관로 신설을 위해 너비 1.3~1.6m 정도의 도로나 땅을 파도록 돼 있다.
그러나 B업체가 실제 땅을 판 너비는 시작 구간만 1.4m로 설계도면을 맞추고 있지만 나머지 상당 구간은 1.2m에도 미치지 않고 심지어 90cm 안팎에 불과한 곳도 수두룩했다.
A업체로부터 하도급을 받은 B업체가 공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여 더 많은 수익을 챙기기 위해 설계도면보다 축소된 너비의 굴착 작업을 한 것으로 보인다.
공사현장을 관리감독하는 감리업체는 이런 문제점이 있는데도 발주처인 영천시에 '문제사항은 없다'고 수차례 구두 보고를 했고 영천시는 이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짬짜미를 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 관계자는 "원청업체가 20~30% 정도의 수주금액을 떼고 주는 공사비로 공사를 해야 하는 하청업체의 전형적인 수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1천원이 드는 공사비를 500~600원으로 줄이면 수익을 더 많이 남길 수 있는데 어느 (하청)업체가 그렇게 하지 않겠느냐"고 되물었다.
이에 대해 영천시 관계자는 "이런 사실을 전혀 몰랐다"며 "문제 구간에 대해선 공사 대금을 감액 지급하고 재발 방지 조치도 마련하겠다"고 해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