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단지 지구단위계획 변경 가능할까?…내년 용역 추진

입력 2025-11-11 17:44:58 수정 2025-11-11 19:21:03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 내년 '종합유통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 진행
유통단지 시설환경 개선 사항, 관별 활성화 방안 등 조사
유통단지 지구단위계획 변경 가능할까?…내년 용역 추진

대구 북구 산격동 종합유통단지 전경. 매일신문DB
대구 북구 산격동 종합유통단지 전경. 매일신문DB

대구 북구 산격동 종합유통단지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연구 용역이 추진된다. 대구시는 용역 결과에 따라 종합유통단지 지구단위계획 변경 가능성 등을 검토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대구시와 대구종합유통단지관리공단에 따르면 시는 내년 1월부터 10개월간 '종합유통단지 활성화 방안 수립 용역'을 진행할 계획이다. 현재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회를 구성 중인 단계로, 내달 중 용역업체 선정계약을 체결하고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다.

시는 이번 용역에서 ▷종합유통단지 입주기업 현황 ▷종합유통단지 시설환경 개선 필요사항 ▷유동인구 유입을 위한 신사업 ▷관별 활성화 방안 ▷지구단위계획 변경 시 반영 필요사항 등을 조사하기로 했다.

시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유통환경이 바뀌면서 유통단지가 침체된 분위기"라며 "유통단지가 조성된 이후 적잖은 시간이 지나면서 영세해진 부분도 있다.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유통단지와 입주업체가 나아갈 방향을 잡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유통단지가 침체 상황을 벗어날 돌파구를 전문업체를 통해 찾아보겠다는 의도다. 유통단지는 지난 1993년 북구 산격동 일대에 83만7천721㎡ 규모로 조성됐다. 섬유제품관·일반의류관·전자관·전자상가·전기조명관·산업용재관·전기재료관 등 7개관이 들어서 있다.

유통단지 이용객은 온라인 거래 확대 등에 따라 점차 줄어들었고, 시와 유통단지관리공단은 유통단지에 다시 활기를 북돋을 방안을 고심해 왔다. 유통단지관리공단은 지난달 유통단지 입주상인들 의견을 수렴하고, 관별 요청사항을 정리한 '유통단지 활성화 의견서'를 시로 제출하기도 했다.

주목할 부분은 이번 조사 항목에 '지구단위계획 변경 시 반영 필요사항'이 포함된 점이다. 지구단위계획에 따른 관별 판매품목 제한은 입주상인들이 유통단지 침체 원인 중 하나로 지목해 온 문제다. 시는 용역을 마친 이후 결과에 따라 지구단위계획 조정 문제를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유통단지관리공단 관계자는 "시설 접근성이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중장기 계획이 필요하다. 시 차원에서 용역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통단지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적 결정을 내려주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