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부동산 정책 발표 전인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10건 가운데 3.7건을 30대가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4년 동안 30대 서울 아파트 매수 비중 가운데 최대 기록이다. 비교적 6·27 대출 규제 영향을 적게 받은 무주택 또는 생애 최초 주택 구입 수요층의 '영끌 매수'가 가세한 영향으로 해석된다.
9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연령대별 아파트 매매 거래현황 통계를 살펴보면 지난 9월 신고된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6천796건) 가운데 30대 비중이 36.7%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 2021년 9월 30대 비중이 38.85%를 기록한 뒤 4년 만에 가장 높은 비중이다.
이에 반해 월별 매수 비중이 30%를 넘기던 40대는 9월 27.4%를 기록했다. 전월에도 40대 매수 비중은 26.8%를 기록, 두달 연소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현상은 6·27 대출 규제는 물론 1주택자가 추가로 주택을 구매할 때 대출 시 기존 주택 처분 기한을 반년으로 줄이는 등 대출 규제가 강화하면서, 비교적 저리 정책 자금을 활용할 수 있는 30대가 매수 시장에서 유리해졌다는 점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또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지속화하자 더 늦기 전에 집을 구입하려는 30대 '패닉바잉(공황구매)' 또는 '영끌 수요'가 늘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구별로는 ▷강서구 48.0% ▷관악구 46.1% ▷성동구 45.5% ▷은평구 43.0% ▷영등포구 42.8% ▷서대문구 41.7% ▷성북구 41.3% ▷동대문구 41.0% ▷구로구 40.3% ▷중구 40.0% 순으로 30대 비중이 큰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지역은 직장 접근성이 높거나 아파트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으로 10·15 부동산 대책 시행 전까지 전세를 낀 갭 투자가 가능한 곳이었다.
이에 비해 강남구(24.2%)와 서초구(25.0%), 송파구(30.0%) 등 강남 3구와 용산구(23.5%) 등은 30대의 매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부동산 대출, 거래 규제 등이 강화하고 있으나, 규제 지역 내에서 6억 한도로 생애 최초 주택 구매자에게는 주택 담보대출 비율(LTV)가 70%까지 유지되는 만큼 정책 자금을 활용한 30대 매수 비중은 더 높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노원구 상계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토허제 여파로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되고 임차인이 있는 집은 팔기도 어려워지면서 10·15대책 이후 매수세가 크게 위축된 상황"이라며 "다만 시장이 안정되면 최대 6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한 15억원 이하 아파트를 중심으로 젊은층의 매수세가 다시 살아날 수도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