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 주요 7개국(G7) 가운데 높은 중간재 교역 비중으로 글로벌 무역 분쟁에 더 취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발표한 '우리나라 중간재 수출입 집중도 국제 비교와 시사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수출·수입에서 중간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67.6%, 50.5%로 집계됐다.
수출과 수입 비중 모두 영국(수출 57.1%·수입 45.7%), 미국(53.6%·41.6%), 일본(53.5%·41.6%), 독일(48.5%·48.9%) 등 G7 회원국을 모두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한국이 소재·부품을 수입해 반도체, 2차전지, 석유제품과 같은 중간재로 가공해 수출하는 산업에 대한 집중도가 높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실제 한국의 수출 상위 3개 품목은 메모리(720억달러), 프로세서·컨트롤러(359억달러), 석유제품(347억달러)은 모두 중간재였다.
반면 G7 국가들은 자동차(독일·일본), 항공기(프랑스), 의약품(독일·이탈리아·프랑스) 등 최종재나 석유(미국·캐나다)와 같은 1차 산품을 주력으로 수출한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나라는 무역의존도가 높고 특히 최종재보다 중간재 교역에 더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다른 국가의 핵심 소재·부품 수출 통제나 제3국 간 무역 분쟁 발생 시 주요 선진국에 비해 생산 차질을 겪을 위험이 더 높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한국의 중간재 교역은 일부 국가와 품목에 집중돼있는 편이다.
중간재 수출, 수입 국가집중도는 각각 1천7포인트(p), 1천126p로 모두 G7 국가 중 캐나다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국가집중도란 중간재 교역이 일부 국가에 얼마나 집중돼있는지 보여주는 지표로 수치가 높을수록 소수 국가에 편중돼있음을 뜻한다.
한국의 주요 수출국은 중국(23.7%), 미국(14.2%), 베트남(8.9%), 홍콩(6.8%) 등이었고 수입국은 중국(27.7%), 일본(10.1%), 미국(9.7%), 대만(8.6%) 순이었다.
다만 수출 국가집중도는 2019년 1천164p 대비 하락하는 등 수출국 다변화 진전을 이뤘다고 경총은 분석했다.
특히 중국 수출 비중이 4.6%p 하락하고 미국 비중은 3.6%p 상승했는데, 이는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가 확대되면서 현지 생산에 필요한 중간재 조달이 증가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수출 비중은 메모리(15.6%), 프로세서·컨트롤러(7.8%), 석유제품(7.5%) 순으로 높았고 수입 비중은 프로세서·컨트롤러(10.2%), 천연가스(9.2%), 메모리(6.3%) 순이었다.
특히 메모리 수출 비중은 5년 새 1.7%p, 프로세서·컨트롤러 수출 비중은 2.4%p 오르면서 전체 수출 품목집중도 상승을 주도했다.
하 본부장은 "최근 미국 관세 정책, 보호무역 확산, 미중 갈등 같은 요인으로 인한 수출 감소, 국내 생산 차질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한다"면서 "수출시장·수입선 다변화, 기술 역량·국내 생산 기반 강화를 위한 대책들이 적극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