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공공기관 2차 이전, 대구시 고용·신산업 이끌 기관 유치하라

입력 2025-11-07 05:0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시가 '공공기관 2차 이전(移轉) 유치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신산업 발전·혁신 성장과 1차 이전 기관과의 시너지 효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유치 전략 마련을 위해서다. 정부는 내년까지 이전 기관·지역을 확정하고, 2027년부터 이전 절차에 돌입하기로 했다. 이미 '앵커(anchor) 기관' 유치를 위한 지방자치단체들의 물밑 경쟁은 치열하다.

대구시는 5일 공공기관 2차 이전 유치위를 발족했다. 시는 앞서 30개 공공기관을 중점 유치 대상으로 선정했다. 최우선 유치 대상은 IBK기업은행이다. 중소기업 비율(99%)이 전국 최고인 점과 1차 이전 기관인 신용보증기금과 연계(連繫) 효과를 노린 것이다. 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 신산업 육성을 위한 공공기관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지속 가능 성장을 지원할 기관도 포함됐다.

이들 모두 대구의 미래를 위해 필요한 기관들이다. 2차 이전 검토(檢討) 대상 공공기관은 1차(153개)보다 훨씬 많은 400개에 이른다. 원하는 기관을 전부 유치하면 좋겠지만, 불가능한 일이다.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기관의 현재 규모만 놓고 유치 기관을 선정하면 안 된다. 1차 이전 때 대구에 온 한국가스공사는 덩치는 크지만 지역 산업과 연계성이 부족했다. 신산업 발전·혁신 성장 관련 기관을 유치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러나 '청년 고용 창출'이 최우선이어야 한다. 어떤 기관이 고용 창출에 도움이 될지 면밀(綿密)히 분석해야 할 것이다.

대구를 '공공기관 이전 최적지(最適地)'로 홍보해야 한다. 수성구 학군이 전국에 명성(名聲)을 떨칠 정도로 대구의 초중고·대학 교육은 최고 수준이다. 의료·문화·교통 인프라도 우수하다. 대구시는 이런 점을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 적극 알려야 한다. 더불어민주당과의 소통 폭도 넓혀야 하겠다. 그런 측면에서 문재인 정부 때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지낸 김사열 경북대 명예교수를 유치위 공동위원장에 위촉한 것은 잘한 일이다. 시간이 많지 않다. 대구시와 지역 정치권은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