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국회의원회관, 'AI 데이터주권&K-컬처 체인망 구축을 통한 글로벌 선도 포럼'
DvaxBio 심리공학 주최, 박성준·김우영 국회의원, UNIST바이오심리공학센터 주관
초고령화 아동·청소년 심리 위기, 사후 치료 중심 정책에서 AI예측 예방적 복지 전환
초 고령화 사회 속에서 아동·청소년과 시니어들의 심리 위기를 사후 치료 정책에서 AI예측을 기반으로 한 예방적 복지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지난 4일, 국회의원회관 제2세미나실에서는 DvaxBio 심리공학 정책연구원이 주최한 'AI 데이터주권& K-컬처 체인망 구축을 통한 글로벌 선도 포럼'아 열렸다.
이날 포럼은 박성준, 김우영 국회의원과 'UNIST 바이오심리공학센터'가 주관했으며, 인공지능 디지털 혁명시대에 데이터 주권의 중요성과 데이터 센터 구축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개진됐다.
김동철(UNIST 바이오심리공학센터장) 박사가 좌장을 맡고 김승현(건국대학원 안보재난관리학과 겸임) 교수가 기조 발표했다.
이소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 데이터 정책과장의 인사말, 정훈 미니게이트 대표, 임나영 한국예술치료학회장, 권민정 UNIST 바이오심리공학센터 연구원 등이 토론에 나섰다.
이날 박성준 국회의원(교육위원회)은 "문화와 데이터, AI를 기반으로 통합 시스템을 도입한다면 신경제모델 구축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다"며 "정부가 AI3대 강국이 목표인 만큼 포럼에서 제시된 전문가 의견이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우영 의원(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은 "데이터 주권은 국가 경쟁력의 핵심이며 특히 아동과 시니어의 심리·정서 데이터와 같은 특화 정밀 영역은 미래를 선도할 전략 자산이다"고 말했다.
기조 발표에 나선 김승현 교수는 "미래 AI 시대의 진정한 승패는 모방이 불가능하고 독점적 가치를 지닌 틈새 특화 정밀 데이터 확보다"며 "민감한 정보보호 문제와 체계적 수집의 어려움으로 표준화된 빅데이터를 확보하지 못한 분야인 아동 및 시니어의 심리·정서·기질 성향 데이터 확보가 미래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동철 센터장은 "초고령화와 아동·청소년 심리 위기를 사후 치료 중심 정책에서 AI예측 기반 예방적 복지로 전환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해야 한다"며 "동형 암호 기술을 통해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 각 행정부처 통합 거버넌스를 통해 AI 데이터 주권 확보를 최우선 전략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했다.
민희식 크리에이티브워크 대표는 "케데헌의 열풍으로 해외 관광객이 증가하고 굿즈 상품과 애니메이션 산업이 활성화지만 지적 재산권(IP)은 미국 기업이 독점 소유하고 있다"며 "IP를 소유하지 못하면 경제적 손실과 국가산업의 성장 저해가 따라온다. 국제 경쟁력을 갖춘 국내 OTT 기업 육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소라 과기정통부 과장은 "아동·시니어 심리 데이터나 K-컬쳐 의료, 문화 플랫폼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잘 수집해 공익적 목적의 데이터 활용 특례 규정 등 정책 마련에 노력하겠다"고 소견을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