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한 뚜안 씨, 전문대 경영학과 졸업하고도 구직 못하다 변고"
"정부의 살인적인 단속, 공동체에 상처만 줄뿐"
"한국의 필요로 일하는 사람들…안정적 체류 위한 정책 전환을"
대구성서산업단지에서 베트남 국적의 20대 노동자가 출입국사무소의 미등록 이주노동자 단속 직후 추락해 숨진(매일신문 10월 29일) 가운데, 노조 등 시민사회계가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여는 등 거센 항의를 이어가고 있다.
사람이 왔다-이주노동자차별철폐네트워크 등 전국이주·노동·인권·시민사회단체는 4일 오전 11시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공동으로 '정부합동단속에 의한 이주노동자 사망 사건 책임자 처벌 및 강제단속 중단 촉구'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기자회견문에서 "미등록 이주노동자는 한국사회의 필요로 내국인이 일하지 않는 사업장, 농어촌 등 곳곳에서 숨죽여 살아가고 있다"며 "정부가 폭력적이고 반인권적인 단속에만 골몰한다면 계속 인권침해, 부상과 사망이 끊이지 않아 사회와 공동체에 상처만 남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족 대리인 자격으로 참석한 김희정 대구경북 이주연대회의 집행위원장은 "뚜안 씨는 지난 2월 계명문화대 경영학과를 졸업하고도 전공을 살려 취업할 수 없었다. 부모님께 신세를 질 수 없다는 생각에 공장을 찾았지만 2주 만에 단속을 피하다 사망하게 됐다"며 "법무부는 단속 중 적법 절차를 준수했다고 주장하지만, 그 자체로 '인간 사냥'인 출입국 단속에 적법과 예방은 애당초 있을 수 없다. 그녀의 짧은 25년 인생을 마감시킨 건 이재명 정부"라고 비판했다.
주최 측은 정부를 향해 강제단속 중단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장예정 차별금지법제정연대 공동집행위원장은 "2018년 국가인권위원회의 개선 권고를 거부한 법무부의 책임"이라며 "뚜안 씨는 정부의 '2025년 2차 불법체류 외국인 정부합동단속' 중 사망했다. 정부는 어떤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 약속도 없이, 종전 계획대로 다음달 5일까지 이 살인적인 단속을 이어갈 생각인가"라고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