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정상회담에서 제외된 철강, 관세부담으로 위기감 고조

입력 2025-11-04 10:22:3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포스코 노동조합연대, 4일 서울 용산서 철강업 위기극복 위한 기자회견 예고

포항제철소 전경. 매일신문DB
포항제철소 전경. 매일신문DB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철강관세 문제가 거론되지 못하면서 철강산업의 위기를 호소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 포스코그룹사 노동조합연대(이하 노조연대)에 따르면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앞 전쟁기념관 입구에서 포스코, 포스코DX, SNNC, 포스코모빌리티솔루션, 포스코엠텍 등 소속 노동조합 집행부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정부를 상대로 철강산업의 어려움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갖는다.

노조연대 측은 지난 1일 마무리된 정상회의가 정부의 양자·다자외교 역량을 확인했다고는 하지만 정작 철강업계를 고사위기로 몰고 가고 있는 50% 품목관세에 대해선 어떤 협의도 없었다는 점에 위기를 느끼며 조선·자동차·건설·에너지·국방 등 전 산업의 뿌리이자 국가 경제의 근간인 철강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기자회견문에는 세계 각국이 철강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지정하고 대규모 보조금·R&D(연구개발)비용을 지원하고 있는 반면, 국내는 '제 4차 탄소배출권 거래제' 할당 계획 등 규제 중심의 정책 지원이 많아 업계의 어려움이 더 커지고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

포스코그룹사노동조합연대는 "규제중심의 정책은 국내 제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고용 위축으로 이어져, 노동자의 생존을 직접적으로 위협할뿐 아니라 지역경제 붕괴는 물론이고 국가 전체의 경제적 연쇄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면서 "철강산업을 지키는 것은 곧 대한민국의 산업과 국민의 삶을 지키는 일"이라며 입법을 촉구했다.

실제로 정상회의 이후, 환영 일색인 자동차 업계와 달리 관세협상에서 제외된 철강 업계의 표정은 어둡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는 철강을 안보 품목으로 지정하면서 올해 초부터 수입산 철강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다만 다른 나라의 철강회사들도 똑같은 고율 관세를 적용 받기 때문에 상대적 불이익은 크지 않다고 하지만, 고율관세에 따른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국내 철강사들의 대미수출 수익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미 상무부 국제무역청(ITA) 통계에 의하면 지난해 우리나라 대미 철강 수출액은 약 29억달러(약 4조1천500억원)로, 지난해 철강 전체 수출액 332억9천만달러(약 47조4억원)의 9%에 불과했다.

여기에 더해 철강분야에 대한 관세가 원자재를 넘어 가전제품, 볼트 등 철강이나 알루미늄이 포함된 407종의 '파생상품'에 적용된다는 점도 중소기업에게 큰 위기감으로 다가오고 있다.

앞서 지난달 28일 경북 포항을 비롯한 전남 광양, 충남 당진 등 철강업체가 자리한 상공회의소에서는 기후에너지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 전달한'국내 철강산업 위기상황 극복 방안 공동 건의문'을 통해 K 스틸법 제정, 철강산업 고도화를 위한 종합대책의 조속한 추진, 제4기 배출권 허용총량 완화 등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