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30일 경찰이 여수·순천 10·19사건(여순사건)을 '반란'으로 묘사한 것을 시정하겠다고 밝혔다.
유 직무대행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종합감사에서 '여순사건이 반란이냐'는 정춘생 조국혁신당 의원의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했다.
앞서 전북경찰청 홍보관에는 여순사건이 '여순반란'으로 적혀 논란이 일었다. 이후 제목이 '여순사건'으로 수정됐으나 '좌익세력의 반란과 소요에 대한 현장 진압에 나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는 홍보 글은 그대로라고 정 의원은 지적했다.
정 의원은 "경찰이 반성해야 할 민간인 학살 역사를 성과로 홍보하고 있다. 역사 왜곡이자 2차 가해"라고 질타했다.
유 직무대행은 "분명히 바로잡겠다"며 "다른 시도 경찰청도 전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답했다.
여순 사건은 1948년 10월 19일 국방경비대 14연대 내 침투해 있던 일부 남로당원을 주도로 시작됐다. 그들이 제주 4·3 사건 진압을 위한 출동 명령을 거부한다는 명분으로 여수·순천 일대를 점령하면서 많은 군경과 민간인들이 희생됐다. 이후 지난 2021년 '여순 사건 특별법'이 제정돼 현재까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9일 여순 사건 77주년을 맞아 자신의 페이스북에 "다시는 국가 폭력으로 인한 무고한 희생자가 나오지 않도록 대통령으로서 엄중한 책임 의식을 갖고 이를 막기 위한 모든 조치를 다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했다.
이날 이 대통령은 당시 반란을 주도한 14연대 군인들을 두고 "부당한 명령에 맞선 것"이라고 덧붙여 논란이 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