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K리그서 잇따른 오심 논란 관련 대책 마련 밝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최근 프로축구 K리그에서 잇따르고 있는 '오심 논란'과 관련해 "심판이 자신의 판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제도적 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최 장관은 29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문화체육관광부 등 종합감사에 참석해 오심을 줄이기 위한 대책 마련을 약속했다.
이날 김승수 국민의힘 의원(대구 북구을)은 최 장관에게 올 시즌 K리그 오심 논란과 관련해 질의했다. 김 의원은 "올 시즌 K리그의 오심이 지난해 28건에서 올해 79건으로 급증했다"며 "단순한 실수가 아니라 제도적인 문제로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의원은 최 장관에게 "전날 증인으로 나선 문진희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이 명백한 오심에 대해 지적하니 개인의 주관적 생각에 따라 판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황당한 답변을 했다. 개인에 따라 판정이 달라질 수 있으면 엿장수 마음대로 엿 주는 것도 아니고 선수와 감독은 누구를 믿고 경기를 하겠나"고 따졌다.
특히 김 의원은 지난 26일 울산문수축구장에서 열린 대구FC와 울산 HD의 경기 장면을 예로 들었다. 당시 대구가 1대 0으로 앞선 후반 19분, 세징야의 슈팅이 울산 수비수 정승현의 팔에 맞았지만 주심이 비디오판독(VAR) 온필드리뷰를 거쳐 페널티킥을 취소했다. 결국 대구는 동점골을 허용하며 승리를 놓쳤다.
김 의원은 "해당 장면은 누가 봐도 명백한 핸드볼이었고, VAR을 거쳤음에도 오심이 나왔다"고 했다. 이어 "해당 주심은 시즌 중 여러 차례 유사한 오심을 범했고, 특정 구단이 피해를 본 경우가 유난히 많았다. 심판 개인의 독단적 판단이 반복되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 주심은 올해 수차례 오심을 저질렀고, 특정 구단이 당한 오심 중 25%가 집중돼 축구 팬들의 의혹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부분에서도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축구뿐만 아니라 많은 종목단체에서 오심이 반복되고 있는데 강력한 대책을 세워야 하지 않나"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최 장관은 "말씀하신 부분을 공감하고 있다"며 "자신이 내린 판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체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