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강남권 아파트를 보유해 '다주택자 논란'의 중심에 섰던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해당 아파트 한 채를 시세보다 4억원 낮춘 가격에 급매한 것으로 확인됐다. 매각 직후에는 계약금을 상장지수펀드(ETF)에 투자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29일 "중개인이 오늘 아침에 가격을 내리자마자 곧바로 팔렸다"며 "계약금도 오전 중 입금됐다"고 밝혔다. 계약은 이날 오전 중 체결됐으며, 매수자는 현장을 직접 보지 않고 계약금을 송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원장은 서울 서초구 우면동 대림아파트 130.89㎡(약 47평) 두 채를 배우자와 공동 명의로 보유해왔다. 첫 매입은 2002년, 이후 2019년 12월 동일 단지 내 두 번째 아파트를 추가 매입해 두 채 모두 실거주 용도로 사용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원장은 최근 국정감사 과정에서 고위 공직자의 다주택 보유가 부적절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아파트 한 채를 자녀에게 증여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아빠 찬스'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처분 방식에 대한 논란이 커졌다. 논란이 이어지자 그는 증여 계획을 철회하고 매각으로 선회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이 원장은 지난 10·15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실거래가가 18억원이던 해당 아파트를 20억 원에 내놓은 데 이어, 이후에는 22억 원으로 호가를 올린 사실이 알려지며 야권의 공세를 받았다.
이에 이 원장은 28일 오후 중개인에게 전화를 걸어 "오해가 있을 수 있으니 가격을 낮춰서라도 무조건 빨리 팔아달라"는 뜻을 전했고, 29일 오전 기존 매매가에서 4억 원을 낮춘 18억 원으로 매물을 조정했다. 이후 몇 시간도 지나지 않아 매매 계약이 체결됐다.
해당 아파트는 매매가 성사되면서 현재 포털 부동산 플랫폼에서는 매물 정보가 삭제됐으며, 동일 평형대의 다른 매물은 19억~27억 원대에서 호가가 형성돼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 원장은 아파트를 처분한 직후, 매각 대금 일부를 ETF에 투자했다. 그는 이날 오후 KB증권 여의도 영업부금융센터를 방문해 일반 투자자들과 동일한 절차를 거쳐 ETF 상품에 가입했다.
이 원장이 가입한 상품은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투자한 상품과 비슷한 국내주식 지수형 ETF로 알려졌다. 앞서 이 원장은 지난 9월 증권사 CEO들과의 만남에서 지수 ETF 투자 의사를 밝힌 바 있다.
이번 ETF 투자는 정부의 '부동산 자산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이동'이라는 정책 방향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금감원 관계자는 "소비자 보호 강화 기조에 따라 금융회사의 상품 판매 과정을 직접 경험하려는 취지도 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