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성장률 1.2% 기록
재화 서비스 소비 모두 늘어 3분기 민간소비 1.3% 증가
정부소비 1.2% 성장, APEC 정상회의로 지출 증가 영향
올해 3분기 한국 경제가 1%대 성장률을 기록했다. 반도체,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호조 속에 소비와 투자가 회복 흐름을 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은행은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 분기 대비·속보치)이 1.2%로 집계됐다고 28일 밝혔다. 지난해 1분기(1.2%)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이다. 지난 8월 한은이 제시한 예상치(1.1%)보다도 0.1%포인트(p) 높다. 지난해 1분기 1.2%에서 2분기 -0.2%로 추락한 성장률은 정체기를 거쳐 올해 2분기(0.7%)부터 반등세를 보여 왔다.
3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1.3% 늘었다. 승용차·통신기기 등 재화와 음식점·의료 등 서비스 소비가 모두 증가했다. 정부소비도 물건비와 건강보험 급여비를 중심으로 1.2% 성장했다. 민간소비는 2022년 3분기(1.3%) 이후, 정부소비는 2022년 4분기(2.3%) 이후 각 3년, 2년 9개월 만에 최고 기록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 중심으로 2.4% 올라섰다. 반면 건설투자는 건물 건설 부진 등으로 0.1% 감소하면서 6분기 연속 역성장을 이어갔다. 수출은 반도체·자동차 주도로 1.5% 성장했고, 수입도 기계·장비·자동차 중심으로 1.3% 늘어났다.
3분기 성장률 기여도를 보면, 내수가 1.1%포인트(p)로 2분기 0.4%p에서 크게 뛰었다. 내수 중에서도 민간소비와 정부소비, 설비투자의 기여도가 각 0.6%p, 0.2%p, 0.2%p로 성장을 주도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이 운송장비·컴퓨터·전자·광학기기 위주로 1.2% 증가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숙박음식업·금융보험업 등의 회복으로 1.3% 늘었다.
이동원 한은 경제통계2국장은 "소비심리 개선, 소비쿠폰과 전기차 보조금 등 정부 정책, 스마트폰·전기차 신제품 출시 효과, 전공의 복귀 등에 따른 종합병원 의료 소비 증가 등에 힘입어 민간소비가 1% 이상 성장했다"고 했다. 정부소비 성장에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건설 투자와 인건비 지출이 늘어난 점 등이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3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0.7%로, 실질 GDP 성장률(1.2%)을 밑돌았다. 원유·천연가스 등 수입품 가격이 올랐지만 자동차·화학제품 등 수출품 가격은 내려 교역 조건이 나빠진 것으로 풀이된다.
4분기 성장률이 -0.1에서 0.3% 사이로 나타날 경우 올해 연간 성장률이 1%대(0.95~1.04%)로 올라설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 국장은 "미국 관세 영향에도 수출이 선방하고 있는데, 4분기에는 어떻게 대응할지 봐야 한다"며 "2차 소비쿠폰 효과, 안전사고 관련 공사 중단 등이 건설투자에 미칠 영향 등도 향후 경제 성장의 핵심 변수"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