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m 격자 분석 결과, 교육·주차시설 접근성 저조
도시재생의 겉모습 뒤에 숨은 '보행 거리의 불평등'
공영주차장 9곳 중 7곳 미충족, 유치원·초등학교도 기준 초과
대구의 도시재생은 여전히 '걸어서 닿지 않는 거리'에 머물고 있다. 도시재생 완료 지역의 기초생활 인프라 가운데, 보육·교육·주차시설 상당수의 보행 접근성이 국가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대구시 도시재생사업 지역을 대상으로 한 기초생활 인프라의 보행 접근성 평가'(계명대 신혜민 박사과정생·김은정 도시계획학과 부교수)에 따르면, 대구의 도시재생사업 9곳 완료 지역(2024년 기준)의 기초생활 시설 접근성을 100m 격자 단위로 분석한 결과 절반 이상이 국가 최저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
이번 연구는 국가 기준을 바탕으로 어린이집·경로당(250m), 유치원·초등학교·소매점·공영주차장(500m), 도서관·생활체육시설·근린공원(750m), 약국(1천m), 의원(1천250m) 등 11개 시설별 보행 접근성을 평가했다.
그 결과 공영주차장은 전체 9곳 중 7곳이 기준을 넘어섰다. 특히 남구 대명동(1천574m)과 남구 이천동(1천559m)은 기준보다 3배가 초과하는 등 접근성이 열악했다. 유치원(7곳)과 어린이집(7곳), 초등학교(6곳)도 상당수 '미충족' 판정을 받았다. 반면 의원·약국·소매점·생활체육시설 등은 대체로 기준을 충족했다.
시설별 평균 거리는 ▷공영주차장 966.3m ▷유치원 610.5m ▷어린이집 293.6m ▷초등학교 505.2m 등으로 기준을 초과했다. 근린공원(700.9m)의 경우 기준(750m)에 근접해 있지만, 이는 '평균값'일 뿐이었다. 일부 지역에선 1㎞ 이상 떨어져 있는 등 9곳 중 3곳은 기준보다 멀었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들이 공공서비스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지만, 실제로는 '생활권 내 불균형'이 뚜렷했다. 도시재생사업 지역 9곳 중 달서구 상인3동, 서구 비산1동·평리1동은 전체 11개 시설 중 10개가 기준을 충족했으나, 대명동과 서구 원대동은 4개 기준만을 충족했다.
공영주차장 접근성이 낮은 지역일수록 도로 불법 주정차가 늘어 보행 안전을 위협하고, 보육·교육 인프라의 접근성 저하는 지역 인구 유출을 가속할 우려가 있다.
한편, 거리 계산에 인구 분포를 반영하자, 일부 시설의 평가 결과가 최저기준 '미충족'에서 '충족'으로 달라지기도 했다. 이는 '인구 밀집'까지 고려한 종합적 접근성 평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인구 밀도와 생활권 중심성, 네트워크 거리 등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맞춤형 인프라 접근성 평가 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