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프로젝트 1단계 '3자연합 모델' 제시
비수도권 제조업 기업의 인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수도권 중장년의 재취업 및 이주를 장려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수도권 및 제주권을 제외한 지역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지역 중소기업 2곳 중 1곳(51.4%)이 현재 인력난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인력난을 겪는 기업의 비율이 60.8%에 달했다.
인력이 부족한 직종은 기술·생산(35.3%), 서비스(27.7%), 사무·관리(12.1%), 연구개발(10.0%) 순으로 나타났다.
지역 중소기업들은 인력난의 주요 원인으로 '낮은 급여 및 복리후생'(32.9%)을 꼽았다. 이어 회사의 업종 및 직종 특성(16.6%), 지역 인구 감소 및 인재 유출(12.4%), 구직자의 수도권 및 대도시 선호 경향(11.1%)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응답 기업의 과반(52.2%)은 50대 이상 중장년을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인력난을 겪는 기업은 그 비율이 60.7%로 중장년 채용 의지가 높았다.
기업이 인식하는 '중장년 직원의 강점'은 풍부한 업무 경험 및 전문성(31.0%), 높은 책임감 및 성실성(29.9%), 장기근속 및 낮은 이직률(18.2%), 원만한 대인관계 능력(6.2%) 순으로 조사됐다. 또 중장년 채용 시 지급할 수 있는 최대 월급 수준(풀타임 근무 기준)은 평균 264만원으로 나타났다.
한경협은 수도권 베이비붐 세대(1955~74년생, 약 800만명주)의 지역 중소기업 취업을 통해 인력난을 해소할 수 있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은퇴한 중장년의 노후를 보장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할 수 있다는 제언이다.
'베이비부머 지역경제 프로젝트'(가칭)를 통해 '3자연합 모델'(수도권 베이비붐 세대·지역 중소도시·지역 중소기업)을 구축할 경우 지역 중소기업들은 45.8%가 인력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보통이다'는 43.2%, '그렇지 않다'는 11%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