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2023년, 김 여사 경복궁 근정전 용상에 앉았다"
김건희 여사가 2023년 경복궁을 방문했을 당시, 임금이 사용하던 근정전의 용상에 앉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일개 아녀자"라는 단어를 쓰는 등 거세게 비판했다.
국가유산청은 22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서 "2023년 9월 12일 김건희씨가 경복궁 근정전에 방문했을 당시 용상(어좌)에 앉은 사실이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당시 김씨는 광화문 월대 복원과 아랍에미리트(UAE) 국빈맞이 행사 점검 차원에서 방문했지만 예정에 없던 경회루·근정전 등의 내부 관람에 국가유산청 관계자들을 대동했다.
이와 관련해 양문석 민주당 의원은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서 2023년 김 여사가 경복궁을 방문했을 당시 사진을 공개하며 "김건희가 왜 경회루에 갔냐. 일반 민간인이 근정전 용상에는 왜 앉았는가"라고 물었다.
이어 "누가 앉으라고 그랬나. 일개 아녀자가. 최 전 청장이 앉으라고 권유한 건가, 아니면 김건희가 스스로 가서 앉은 건가"라며 "분으로 따지면 1분, 2분, 3분, 4분, 5분? 앉아서 무슨 얘기를 했느냐"고 쏘아붙였다.
당시 경복궁 방문에 동행한 정용석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은 "정확하게 기억이 나지는 않는다. 본인이 가서 앉으셨지 않았을까 싶다"면서 "계속 이동 중이었기에 만약 앉아 있었다 하더라도 1~2분 정도"라고 답했다.
또 조계원 민주당 의원은 정 사장에게 "용상이 개인 소파인가, 김건희가 슬리퍼 짝짝 신고 스스로 올라갔느냐"면서 "왕을 꿈꿨나 보다"라고 했다. 이어 문체위원장인 김교흥 민주당 의원은 "제대로 얘기 안 하면 여아 간사, 위원님들 간에 합의해 위증죄로 고발할 수도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참고로, 근정전은 조선 왕조의 법궁(法宮)인 경복궁에서 으뜸이 되는 건물이다. 근정전 중앙에 있는 어좌는 왕이 신하들의 조회를 받거나 외국 사신을 맞는 등 중요한 행사 때 앉았던 의자로, 왕의 권위를 의미한다.
현재 놓여 있는 것은 재현품으로, 궁궐 내 진품 집기 유물은 모두 국립고궁박물관에 소장돼 있다.
국가유산청 측은 역대 대통령 가운데 근정전 내부에 들어와 어좌에 앉은 사례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용상에 앉은 사례는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전했다.
한편, 앞서 유튜브 '주기자 라이브'에선 지난 20일 김 여사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함께 슬리퍼를 신고 경복궁 내 건축물 안에 있는 사진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