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 컨퍼런스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 주제 심포지엄
"미중이 앞서가고 있지만 한국의 잠재력도 충분합니다."
대구경북 자율주행 선도기업 오토노머스에이투지(이하 에이투지) 유민상 상무는 22일 엑스코에서 열린 FIX(미래혁신기술박람회) 콘퍼런스 연사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한국자동차기자협회와 지능형자동차부품진흥원(KIAPI)은 '자율주행 서비스의 미래와 현실'을 주제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막대한 자본 투입이 자율주행 기술 격차를 확대하고 있다는 진단이다. 유 상무는 "자율주행 분야에서는 인공지능이 주행 전 과정을 학습하는 '엔드 투 엔드(End-to-End)' 방식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상하고 있다"며 "미국과 중국이 막대한 자본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상용화를 추진 중이지만, 한국은 공공형 자율주행 서비스 중심으로 사회적 신뢰와 제도적 안전성을 중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엔드 투 엔드 방식은 발전 가능성이 크지만, 막대한 자원과 법적·기술적 해석의 어려움이라는 한계도 있다"며 "한국은 기술 경쟁보다는 공공성과 안전을 기반으로 한 단계적 'K-자율주행 상용화 모델'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상무는 기술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어려움이 있지만 발전 방향은 명확하다고 확신했다. 그는 "사람의 안전과 연관된 기술은 수용 속도가 더디다. 에이투지는 실증 과정에 사회적 합의도 고민하고 있다. 단계적으로 발전하며 우리 현실에 맞는 로보택시(완전 자율주행)를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자율주행 주차로봇과 스마트 주차장'을 주제로 발표를 맡은 허재호 HL로보틱스 팀장은 "자율주행 주차로봇은 단순한 기술 혁신을 넘어, 도시 공간의 효율성과 이동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는 새로운 모빌리티 인프라"라며 "주차 공간 부족과 교통 혼잡,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