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훈 기자의 한 페이지] "내일이 오늘보다 더 나아지길"…노인 혜택 모아 이웃사랑 실천하는 배해주 씨

입력 2025-10-22 14:26:12 수정 2025-10-22 15:11:4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생회복 소비쿠폰' 기부, 지인들과 함께 '발걸음'도 기부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 마련된 사랑의열매 로고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 마련된 사랑의열매 로고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달 29일.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앞으로 한 통의 편지가 도착했다. 편지를 보낸 이는 대구 북구에 사는 배해주(69) 씨. 그가 보낸 편지봉투 안엔 현금 28만원이 담겨 있었다. 그는 "지원금을 어떻게 써야 할지 한동안 고민했다. 나보다 힘겨운 이웃에게 더 의미 있게 쓰이길 바란다"며 민생회복 소비쿠폰 1·2차 지원금 전액을 기부했다.

지난 1월에도 그는 '노인을 반납합니다'란 제목의 편지와 함께 기부금을 넣어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보냈다. 그는 65세가 되던 2021년부터 자신이 받은 노인 혜택을 모아 1년에 한 차례씩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하고 있다. 4년째인 올해는 지난해 모은 21만7천원을 기부했다. 이밖에도 그는 매일신문에 이웃사랑 성금을 보내는 등 어려운 이웃을 위해 틈틈이 모은 돈을 꾸준히 기부하고 있다.

지난 10일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서 만난 배해주 씨는 "기부에 거창한 의미를 부여하고 싶진 않다. 그저 우리 사회의 내일이 오늘보다 더 나아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나눔을 실천하고 있다"고 했다.

-경찰공무원 출신으로, 다수의 수필집을 낸 수필가이기도 하다.

▶그렇다. 1979년 순경으로 입직해 2016년 경북경찰청 보안수사1대장(경정)을 끝으로 37년간 근무했다.

수필가란 타이틀은 아직도 낯설다. 현직에 있을 때부터 책을 많이 읽는 편이었다. 한해에 100권이 넘는 책을 읽었을 때도 있었다. 게다가 기자들과 접촉이 많은 부서에 주로 근무하다보니 언론사 측의 요청으로 칼럼을 쓸 기회가 많아졌다. 글을 쓰는 것에 대한 흥미도 커졌다.

2009년쯤부터는 본격적으로 글을 써보자는 생각에 지역 한 문학단체가 운영하는 글쓰기 수업도 들었다. 퇴직을 2년 앞둔 2014년 펴낸 '머물렀던 순간들'이란 첫 수필집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수필집 3권과 칼럼집 1권을 냈다.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보낸 편지. 김도훈 기자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 보낸 편지. 김도훈 기자

-기부를 시작하게 된 동기가 궁금하다.

▶경위 때인 1990년대 후반 무렵 한 국제구호단체에 월 3만원 후원을 신청한 게 시작이었다. 퇴직 2개월을 앞두고 자동이체 해지를 위해 통장을 확인해보니 모두 5개 단체에 후원을 하고 있더라.

본격적인 기부는 경주경찰서 정보과장으로 있던 2014년 첫 수필집을 낸 게 계기가 됐다. 개인적으로도 의미가 있는 첫 책이었기에 경주 한 호텔에서 출판기념회를 열었다. 책 판매 수익금은 어려운 이웃을 위해 기부한다는 계획이었다.

출판기념회엔 경북경찰청창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참석해 축하해주셨다. 그런 격려 덕분에 1천700만원이 모였다. 기념회 경비 600만원을 제하고 1천100만원을 기부하기로 했다. 하지만 서울 본청에 문의한 결과 1천만원이 넘는 큰돈을 경찰공무원 개인이 외부 단체에 기부하는 게 당시로선 불가능했다.

대안으로 제가 근무하고 있는 경북경찰청 소속 동료를 위해 쓰기로 했다. 경북경찰청 측이 노모를 모시고 있는 직원, 다자녀 직원 등 형편이 빠듯한 직원 11명을 선정해줬고, 그 동료들에게 각각 100만원씩을 전달한 게 시작이었다.

-퇴직 후 재취업한 중소기업에서는 직원 복지를 위한 상조회 설립을 주도했다.

▶종업원 50명 규모의 소규모 회사라 직원을 위한 복지가 전무한 상태였다. 정년퇴직을 한 뒤에도 다시 일을 할 수 있게 해준 고마운 회사였던 만큼, 직원들에게도 애착이 컸다. 2021년 무렵 직원 자녀가 진학할 때 장학금도 주고 경조사 등도 챙겨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사장님,…합시다'라고 할 수는 없지 않나. 그래서 종잣돈 마련을 위해 '매일 1만보를 걸으면 1만원을 저금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렇게 1년 동안 모은 365만원을 들고 사장님께 제안했다. 고맙게도 사장님도 흔쾌히 수락하셨고 거기다 500만원을 보탰다. 이 돈으로 상조회가 꾸려졌다. 이듬해엔 연간 400만보를 걷겠다는 목표를 세운 뒤 달성해 400만원을 상조회에 전달했다. 이곳에선 2023년까지 7년 동안 근무했다.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서 올해 받은 노인혜택을 기록한 메모를 보여주고 있다. 김도훈 기자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서 올해 받은 노인혜택을 기록한 메모를 보여주고 있다. 김도훈 기자

-'노인을 반납합니다'란 표현으로 노인 혜택을 기부한한다는 뜻도 울림이 크다.

▶대한민국 국민은 65세가 되면 경로우대 카드를 신청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하철 무료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 카드를 만들면서 이런 혜택으로 뭔가 의미 있는 일을 해야겠다 싶었다. 현직에 있을 때보다 여유롭진 않지만 노인혜택 정도는 감당할 수 있으니 어려운 이웃을 위해 사용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해부터 지하철 요금, 예방접종비, 박물관·영화관 입장료 등에 대한 무료 또는 할인 혜택을 현금으로 환산해 모으고 있다. 이를테면 지하철 편도 요금은 1천250원으로 왕복으로 이용했다면 2천500원을, 영화관을 갔다면 할인받은 8천원을 송금하는 식이다.

미루지 않는다는 게 철칙이다. 오늘도 인터뷰 약속장소로 오는 지하철 안에서 성금을 모으는 통장으로 2천500원을 이체했다. 지난 4년 동안 매년 초 '노인을 반납합니다'란 편지에 기부금을 넣어 전달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지난해엔 지하철 이용료 26회, 병원 29회, 공원 및 박물관 관람비 3회, 영화관 이용 8회, 무료 예방접종 2회까지 총 68번의 요금감면·할인 혜택으로 21만7천원을 모아 올해 초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전달했다.

-지인들과 함께 '발걸음을 기부합니다'란 이름의 걷기 챌린지도 하고 있다.

▶'휴대전화 걷기 앱'을 활용해 1년에 한 차례씩 하고 있는 기부다. 올해 3종의 앱을 통해 모인 금액이 11만5천원쯤 된다. 연말까지 13만원 정도는 만들 수 있을 것 같다. 이렇게 한 해 동안 모은 금액만큼 매년 초 기부를 하고 있다.

적은 금액이지만 이 활동이 의미 있는 건 뜻을 함께하는 이들이 있다는 것이다. 올해는 지인들 것까지 모으면 50만원 정도가 될 것 같다. 어떤 이들에겐 50만원이 아무 것도 아닐 수 있다. 하지만 돈의 액수보다는 적은 금액이지만 어려운 이웃을 돕겠다는 뜻을 함께하고 이런 생각을 나눌 수 있다는 게 참 바람직하고 의미 있는 게 아닌가 생각한다. 해를 거듭할수록 함께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는 점에서도 큰 행복을 느낀다. 발걸음을 기부한다고 생각하면 힘든 걸음도 보다 가볍게 느껴진다.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서 기부와 관련한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고 있다. 김도훈 기자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서 기부와 관련한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고 있다. 김도훈 기자

-기부와 관련한 목표가 있나.

▶사실 선친께서 제 출생신고를 2년 늦게 한 탓에 실제 나이는 2살이 더 많다. 학창시절 때는 2살 어린 이들과 친구로 지내야하는 탓에 불만도 가졌었지만, 퇴직할 시점이 되니 아버지께 감사한 마음이 들더라. 덕분에 2년이나 더 공직에 있을 수 있었으니 말이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87세에 돌아가셨다. 저 또한 부모님만큼만 살 수 있다면 여한이 없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한다. 제 주민등록상 나이가 85세가 되면 실제 나이는 87세다. 1년에 한 차례씩 하는 '노인을 반납합니다' '발걸음을 기부합니다'란 나눔 활동을 65세 때 시작했으니 이 활동을 그때까지 계속한다면 20번째가 된다. 이 활동을 스무 번 채우는 게 꿈이다.

사실 자기 자신이나 가족을 위하는 건 동물들도 한다. 인간이기에 한 발 더 나아가야 한다고 생각했고, 남을 위해 미미하지만 의미 있는 일을 해보자는 마음가짐으로 살아왔다. 작은 나눔이라도 모이면 큰 나눔이 된다. 뜻을 같이하는 시니어들이 더욱 많아진다면 더할 나위 없겠다.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 마련된 사랑의열매 로고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배해주 씨가 대구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무실에 마련된 사랑의열매 로고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