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업계의 미래 먹거리로 부상한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주요 기업들은 최근 대형 화재로 부각된 화재 위험에 대응한 안전성을 내세우고 있다.
삼성SDI는 전기안전공사와 ESS와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배터리 관련 산업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삼성SDI와 전기안전공사는 실무협의체를 꾸려 세부 이행 과제를 구체화하는 등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은 정부 주요 국정과제 가운데 하나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 및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가파르게 성장하는 ESS 시장의 안전 기반을 선제적으로 다지기 위해 추진됐다.
최주선 삼성SDI 대표는 "전기안전공사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제품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SK온 역시 ESS 사업 확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 이석희 SK온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진행한 CEO 특강에서 "ESS 사업은 전기차에 이은 중요한 미래 핵심 성장 동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배터리 사업에서 안전성과 신뢰는 최우선 가치"라며 "고객이 신뢰할 수 있는 안전성을 기반으로 글로벌 ESS 시장에서 영향력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화재 조기 진압 설루션 등 주요 사업 전략을 바탕으로 북미 등 글로벌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내겠다는 전략도 제시했다.
한편, 우리 정부가 2038년까지 23GW(기가와트) 공급을 목표로 올해부터 매년 ESS 입찰을 실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