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학교, '2025 대구여성영화제' 10월 30일 개막
'우리는 모든 거리를 초월해'… 25편의 작품이 전하는 연대의 메시지
10월 30일~11월 1일, 3일간 12개 섹션·25편 상영

여성의 이야기가 다시 스크린 위로 오른다. 계명대가 주최하는 '2025 대구여성영화제'는 거리와 세대, 언어를 넘어 서로를 연결하는 영화의 언어를 제시한다.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 여성학연구소가 주최하는 '2025 대구여성영화제'가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3일간 메가박스 대구프리미엄만경관 4관에서 열린다.
올해 영화제의 주제는 '우리는 모든 거리를 초월해'로, 세대·언어·경계·경험을 넘어 연결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스크린을 통해 전한다. 총 12개 섹션, 25편의 영화와 25명의 감독·평론가가 참여하며, '지역과 삶의 자리', '몸과 기억의 서사',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사회와 예술을 여성의 시선으로 다시 바라본다.
10월 30일 개막식에서는 '지역과 삶의 자리'를 주제로 한 개막작 '날 선 평화의 경계'가 상영된다. 분단과 경계의 일상 속에서 평화를 모색하는 여성의 시선을 따라가는 작품이다. 같은 날 단편섹션 1 '사라진 삶의 자리'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터전을 잃은 자연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상영되며, 기획토크 1 '감독×감독: 나의 노동이 여전히 투명한가요'에서는 청소노동자의 비가시화된 노동 문제를 논의한다.
10월 31일에는 '몸과 기억의 서사'를 주제로 한 프로그램이 이어진다. 단편섹션 2에서는 '소년 실격', '무지개 배낭클럽', '자매의 등산' 등이 상영되며, 여성의 성장과 연대, 자기 정체성을 탐구한다. 장편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 상영 후에는 기획토크 2 'Deposition: 사라진 목소리의 빈자리를 채우기'와 심연섭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회장의 강연 '타오르는 몸의 기억들'이 진행된다.
11월 1일 마지막 날에는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를 주제로 한 상영이 이어진다. 단편섹션 3 '여자들을 키운 여자들에 대해', 단편섹션 4 '볕뉘', 단편섹션 5 '오늘의 거리를 애도하며' 등이 상영되며, 폐막작 '파기상접: 깨진 그릇 붙이기'는 권력형 성폭력 사건을 대응하는 과정을 통해 치유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번 영화제는 메가박스 대구프리미엄만경관의 후원과 시민, 단체, 기업의 자발적 참여로 진행된다. 지역 여성 예술가들의 생태적 커머닝 실천을 조명하는 기획전 '팔현습지를 지키는 예술행동'도 함께 열린다.
안숙영 대구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계명대 여성학연구소장)은 "올해 영화제는 서로 다른 세대와 경계, 언어와 경험의 거리를 넘어 함께 연결되는 우리 모두의 바람을 담고 있다"며 "시민의 손길과 마음이 모여 완성된 이번 영화제가 지역과 시민이 함께 만드는 문화적 실천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신채기 계명대 연구처장은 "대구여성영화제는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을 비추며 예술을 통해 평등과 연대의 가치를 나누는 뜻깊은 자리다"며 "시민과 단체의 자발적인 참여로 만들어진 이번 영화제는 대구가 지닌 공동체의 힘을 보여주는 자랑스러운 문화적 성취"라고 밝혔다.
'2025 대구여성영화제'는 전 작품 무료 상영으로 진행되며, 온라인과 현장 예매가 모두 가능하다. 지역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계명대 여성학연구소 누리집(www.iw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는 053-580-5328로 하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