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을 구축한 국내 중소 제조기업 절반은 공정에 인공지능(AI) 도입이 필요하다고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달 16∼30일 최근 5년간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 502개를 대상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중소기업의 AI 도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한 결과, 중소제조 업체의 47.4%가 '제조 공정에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별로 보면 기초단계 업체는 38.8%, 고도화 단계 업체는 58.4%가 각각 AI 도입이 필요하다고 답해 스마트공장 수준이 높을수록 AI 필요성을 더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AI 도입이 필요한 분야로는 '품질관리'가 가장 많이 꼽혔고, 이후 '생산 최적화', '공정 자동화' 순이었다.
AI 도입이 어려운 이유로는 '초기 비용 부담'이 44.2%로 1위를 차지했고, '전문인력 부족'이 20.5%로 뒤를 이었다.
AI 도입에 대한 투자 의향 금액은 '1억원 이하'가 68.9%로 가장 많았다. 또 응답 기업들의 54.6%는 정부가 AI 기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신설하면 참여하겠다고 답했다.
AI 도입에 가장 필요한 지원의 경우 '직접적인 자금 지원'이 72.3%, 'AI 전문 컨설팅' 21.9% 등으로 나타났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업체별 공장 수준과 상황에 따라 편차가 크므로 AI 대전환을 위한 제조 AI 도입 지원뿐만 아니라 기초 수준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지원도 지속하는 '투트랙' 정책이 필요해 보인다"며 "중소기업이 부담으로 느끼는 AI 도입 비용과 전문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