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개선에 전국 고용 회복세
건설·제조업 부진…청년층 고용 감소
지난달 전국 취업자 수가 1년 전 같은 달보다 31만2천명 늘어나며 1년 7개월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대구경북 전체 취업자 수도 1년 새 5만명 넘게 늘며 호조를 보였다.
그동안 부진했던 서비스업 고용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등 영향으로 개선 흐름을 보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다.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17일 발표한 '9월 고용동향' 자료를 보면 지난달 전국 취업자(15세 이상 기준) 수는 2천915만4천명으로 지난해 9월보다 31만2천명(1.1%) 늘었다. 불법 비상계엄 여파로 정국이 급격히 얼어붙었던 지난해 12월 취업자 수가 5만2천명 줄었는데, 올해 1월 증가세(1년 전 대비 13만5천명)로 돌아선 이후 9개월 연속 플러스 행진을 이어갔다.
특히 증가 폭(31만2천명)은 지난해 2월(32만9천명) 이후 19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6월(18만3천명)과 7월(17만1천명), 8월(16만6천명)에는 증가 폭이 10만명대에 머물렀지만 지난달에는 30만명대로 크게 확대됐다.
지난달 취업자를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에서는 지난해 9월보다 2만8천명 증가했다. 이 증가 폭은 2017년 11월(4만6천명) 이후 가장 큰 것이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2만6천명 늘어나며 지난 3월(5만6천명) 이후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지난 7월 집행이 시작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일부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하지만 농림어업(-14만6천명)을 비롯해 건설업(-8만4천명)과 제조업(-6만1천명)은 이번에도 취업자 수가 줄었다. 제조업은 15개월 연속 감소세(1년 전 대비)다.
연령별로는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달 60세 이상 취업자 수는 지난해 9월보다 38만1천명 늘었고, 30대도 13만3천명 증가했다. 반면 청년층인 20대 취업자 수는 13만4천명 감소했다. 경제 핵심 연령대인 40대와 50대도 각각 4만5천명, 1만1천명 줄었다.
지난달 15~64세 고용률은 70.4%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5.1%로 0.7%p 하락했다. 실업률은 2.1%로 지난해 9월과 같았다.
이날 국가데이터처 동북지방통계청이 별도로 발표한 고용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의 취업자는 122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9천명 늘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1만6천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7천명), 농림어업(4천명)이 증가했다. 제조업(-1만2천명), 건설업(-3천명), 전기·운수·통신·금융업(-3천명)은 감소했다.
고용률은 58.5%로 1년 전보다 0.5%p 상승했고, 15~64세 고용률은 66.0%로 0.7%p 상승했다. 실업률은 2.8%로 1년 전과 같았다.
경북 취업자는 152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4만3천명 늘었다.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5만7천명), 제조업(7천명), 농림어업(4천명), 건설업(1천명)이 증가했다. 전기·운수·통신·금융업(-2만명), 도소매·숙박음식점업(-5천명)은 감소했다.
고용률은 66.8%로 1년 전보다 1.9%p 상승했고, 15~64세 고용률은 72.0%로 2.7%p 상승했다. 실업률은 1.7%로 1년 전보다 0.1%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