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유도 글 기승, 한국이 국제 호구?…"정부 자국민 나몰라라" 분노 폭발

입력 2025-10-15 16:49:12 수정 2025-10-15 19:20:17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불법 도박사이트·취업 커뮤니티 등 글 속출
"日 재작년에 수사관 파견해 대응"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범죄 대응 현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15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최근 캄보디아에서 발생한 한국인 대상 납치·감금 범죄 대응 현황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고문 사건 피해자가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지역 생활 커뮤니티를 비롯 온라인 상에 캄보디아행을 유도하는 글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네티즌들은 정부 대응이 한참 늦었다며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최근 지역생활 커뮤니티인 당근에는 추석 연휴 도중 한 달 간 캄보디아를 여행할 예정이라며 모든 경비를 부담할테니 같이 갈 사람을 구한다는 글이 올라왔다. 일부 이용자들이 범죄 가능성을 우려하면서 해당 글은 현재 삭제된 상태다.

해당 글을 본 한 이용자는 "최근에도 대구에서 캄보디아로 간 가족이 실종됐다는 신고가 접수됐는데 신고를 받은 경찰서가 내가 사는 동네여서 불안했다"며 "혹시나 이런 지역 구인 글을 보고 간 것이 아닌가 걱정"이라고 말했다.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도 불법 도박사이트나 취업 정보를 공유하는 카페 등을 중심으로 캄보디아행을 유도하는 글을 어렵잖게 찾아볼 수 있었다. 14일 구인글로 위장한 게시글 중에는 '삶이 힘들고 인생의 마지막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으신 분'이라는 제목까지 있는 등 노골적으로 절박한 처지에 놓인 이들을 노리는 모습도 보였다.

정부의 늦은 대응에 대한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윤창렬 국무조정실장은 지난 13일 국정감사에 대해서 캄보디아 내 한국인에 대한 범죄에 대해 "심각하게 인식 못했던 건 맞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주 캄보디아 한국대사관은 피해자 구조 요청에 현지 경찰에게 구조를 요청하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 이마저도 피해자들이 구조를 원한다는 메시지가 담긴 영상을 찍어 캄보디아 경찰에 텔레그램으로 직접 연락하는 식이어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탓에 대사관이 아닌 캄보디아 한인회로 도움을 요청하는 피해자 연락도 적잖은 상황이다.

온라인 상에는 정부에 답답함을 호소하는 강한 비판글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네티즌들은 "한국이 국제 호구가 됐다, 일본은 재작년에 이미 수사관 수십명을 파견해 직접 범죄자 신병까지 넘겨받았다", "캄보디아에 가는 ODA(공적개발원조) 예산 삭감 뿐 아니라 직접적인 수사 인력 투입을 검토해야 한다", "대사관 대응은 사실상 정부가 자국민을 나몰라라 하는 것 아니냐" 등 불만을 털어놨다.

한편 외교부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는 올해 8월까지 330건을 넘어서 지난해 220건보다 크게 늘었다. 2022년과 2023년만 해도 연간 10~20건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가 폭증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15일 재외국민 안전대책단을 구성해 캄보디아에 파견키로 했다. 대책단은 캄보디아 집권당 관계자와 접촉해 한국인 납치·구금 사태에 대응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