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鐵)의 도시'로 불리는 경북 포항시. 몇 해 전부터 이 철의 도시가 가을이면 클래식 음악으로 물들고 있다. 2021년부터 포항문화재단이 열고 있는 포항국제음악제를 통해서다. 거장부터 신예까지 아우르는 탄탄한 라인업, 정통성과 실험성을 조합한 프로그램으로 지역민과 애호가의 발길을 모은다. 짧은 역사지만 평창대관령음악제, 통영국제음악제와 비교될 정도로 견고함으로 주목 받고 있다. 올해 행사는 다음달 7일부터 13일까지 일주일 동안 포항시 주요 공연장에서 열린다.
이 음악제의 기획자는 첼리스트 박유신이다. 그는 경희대 음대와 독일 드레스덴 국립음대에서 공부하고 2015년 브람스 국제 콩쿠르 2위, 2018년 야나체크 국제 콩쿠르 2위 등 다수의 국제 콩쿠르에서 입상한 촉망받는 연주자다.
그는 첫 행사 때부터 지금껏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매년 음악제의 주제를 정하고, 연주할 작품과 연주자를 모으는 게 그의 역할이다. 1990년생인 그의 나이를 고려하면, 서른 살 때부터 이 정도 규모의 국제 음악제를 꾸려왔다는 점에서 상당히 이례적이다.
지난 13일 올해 행사가 열리는 공연장 중 하나인 포항 효자아트홀에서 그를 만나 음악제와 관련한 이야기를 나눴다.
-포항이 고향이다.
▶그렇다. 포항에서 태어나 고등학생 때까지 살았다. 예술감독 제안이 왔을 때 젊은 나이였기에 부담도 컸지만, 나고 자란 고향에 제가 사랑하고 가장 잘 할 수 있는 음악으로 무언가 역할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서 수락했다.
이보다 2년 앞서 서울에서 선보인 '어텀 실내악 페스티벌' 경험이 많은 도움이 됐다. 독일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이듬해인 2019년부터 예술감독을 맡아 지금껏 이어오고 있는 가을 음악축제다. 올해 행사는 지난달 11일부터 14일까지 세종문화회관, 예술의전당 등에서 열렸다.
포항문화재단 측이 2021년 음악제를 준비하면서 어텀 실내악 페스티벌을 유심히 살펴봤다고 하더라. 포항 출신 젊은 연주자의 아이디어와 기획력을 궁금해 했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 저 또한 어텀 실내악 페스티벌 경험 덕분에 용기를 낼 수 있었다.
-그동안 포항국제음악제 무대에 오른 연주자의 면면도 화려하다. 특히 노부스 콰르텟, 벨체아 콰르텟, 카잘스 콰르텟 등 세계적인 현악 4중주단을 초청해 눈길을 끌었다. 여기에다 피아니스트 백건우·백혜선, 바이올리니스트 정경화 등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들의 무대를 통해 음악제의 무게감을 더했다.

▶개인적으로 소규모 실내악에 관심이 많다. 대중의 입장에선 독주회나 오케스트라 공연은 익숙한 반면, 현악 4중주 같은 실내악 공연은 상대적으로 접하기 힘들다. 지방 소도시인 포항에선 특히나 그렇다. 그런 점에서 높은 수준의 실내악 공연을 선보이고 싶었다. 쉽고 편한 곡만 연주하지 않았는데도 청중 반응이 좋았다. 객석의 모든 관객이 기립박수를 치던 장면이 아직도 생생하다. 연주 수준이 높다면 청중은 어떤 생소한 곡이라도 좋아해준다는 경험을 얻었다.
이젠 포항국제음악제에 참가하고 싶다며 해외 연주자들이나 연주자가 소속된 매니지먼트사에서 먼저 연락을 해오기도 한다. 이렇게 성사된 사례도 있다. 요즘 음악가들은 SNS로 빠르게 정보를 주고받기에, 음악제를 잘만 꾸려간다면 한국의 지방 도시인 포항도 음악 도시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겠다는 자신감도 생겼다.
-포항국제음악제는 무용과 실내악, 실내악과 아카펠라, 지휘자 없는 스탠딩 오케스트라 등 독특한 새로운 시도를 통해 관객의 이목을 집중시키는데 성공하고 있다.
▶매년 어떻게 하면 보다 더 다채로운 공연을 선보일 수 있을지 고민이 많다. 지난해 폐막공연에선 정통 실내악과 아카펠라가 공연장을 채우는 무대를 꾸몄다. 2023년 폐막공연에서는 무대 위에 또 다른 무대를 설치해 8명의 현악기 연주자와 8명의 무용수가 함께 올라 멘델스존과 바르기엘의 현악 8중주를 선보였다.
기존 클래식 공연에선 만나기 어려운 새로운 시도는 음악제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솔직히 매년 관객들이 새롭고 신선한 무대에 대한 기대를 점점 가지시는 것 같아 부담감도 있지만 꾸준히 이어갈 생각이다.
신생 음악제일수록, 또 음악제를 꼭 찾고 싶은 곳이 되도록 하기 위해선 연주의 질과 프로그램 수준이 중요하다. 훌륭한 연주자를 섭외하려고 노력하는 것도, 다채로운 공연을 위한 새로운 시도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올해 음악제 주제는 '인연'이다.
▶5년째를 맞다보니 꾸준히 음악제를 찾는 이들이 많이 생겼다. 매년 앞자리에 앉아 연주를 감상하시는 익숙한 얼굴도 보게 된다. 서울에서 포항까지 내려와 공연을 본 뒤 로비에서 인사를 건네는 애호가들도 있다. 출연하고 싶다고 연락을 주는 국내외 연주자들도 많이 생겼다. 음악제를 통해서 이뤄진 이런 많은 인연들이 큰 힘이 된다. 그리고 참 가치 있고 소중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 소중한 공연을 또 다시 잘 만들어보자는 생각에서 주제를 인연으로 정했다.
-올해 주목할 만한 프로그램은.
▶개막 공연에서 지휘자이자 작곡가인 윤한결이 '동해안 별신굿'을 테마로 작곡한 작품을 선보이는 걸 꼽을 수 있다. 윤한결은 2023년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젊은 지휘자상'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한, 유럽에서 주목하는 차세대 지휘자다. 지난해 포항국제음악제에 무대에 오른 인연으로 올해 한 번 더 지휘를 부탁하면서 별신굿을 테마로 위촉곡을 요청 드렸는데 감사하게도 흔쾌히 응해주셨다. 이번 음악제가 초연 무대가 된다.
오스트리아 현악 4중주단인 하겐 콰르텟 무대도 주목할 만하다. 1981년 오스트리아에서 하겐 가(家)의 네 형제가 창단한 이후 40여 년간 세계 유수 공연장 무대에 오르며 현악 4중주계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해왔다. 이들의 연주를 국내에서 실황으로 만날 기회는 흔치 않다.

-포항국제음악제처럼 규모가 큰 페스티벌 예술감독은 일반적으로 연륜이 쌓인 음악가들의 영역으로 인식돼 왔다. 연주자를 섭외하고 여러 공연을 매끄럽게 진두지휘하기 위해선 많은 음악적 경험과 인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잘 해내고 있다. 특히 섭외력에 있어 30대 젊은 예술감독의 결과물이라고 하기엔 매우 놀랍다는 평가가 많다.
▶감사한 일이다. 하지만 연주활동과 기획자 일을 병행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만은 않다. 특히나 훌륭한 연주자를 섭외하는 일은 더욱 그렇다. 음악제에 소개하고 싶은 연주자가 있는 것과 초청하는 건 또 다른 일이다. 이미 몇 년 치 스케줄이 나와 있는 경우가 대다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일 년 내내 음악제에 대한 생각을 가져가야 하고 시간 안배와 체력관리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한다.
힘들다고 해서 내려놓고 싶진 않다. 연주활동만 할 때는 그것만으로도 힘들었는데 기획 일까지 하다 보니 더욱 힘들어진 건 사실이다. 하지만 그만큼 공연 하나하나가 더욱 소중해졌다. 기획 일을 하지 않았다면 느낄 수 없었던 경험이기에 저의 음악적 깊이도 더욱 깊어지는 것 같다. 이를 통해 제가 기획하는 음악제도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한다.
-고민거리는 없나.
▶포항국제음악제의 생명력에 대한 고민을 늘 한다. 세상엔 수많은 음악 축제가 있지만 모든 축제가 유지되고 사랑받지는 못한다. 연주자로 초청을 받아 간 한 지역 음악제가 몇 해 뒤 없어진 사례도 경험했다. 이처럼 쉽게 사라질 수 있는 게 지역 음악 축제다. 결국 살아남는 문제는 기획자의 방향성이 많은 이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킬 때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제가 살고 있는 서울이나 수도권에선 포항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많은 공연이 이뤄지고 있다. 그렇기에 포항까지 와야 할 이유를 만들어야 한다. 다른 곳에선 만나보기 힘든 공연을 만들려고 노력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포항국제음악제가 연륜이 쌓여, 여행을 즐기듯 음악을 즐기러 포항을 찾는 이들이 많이 생겼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