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볼·슈팅스타·홍주씨들리스, 맛·향 차별화
2030년까지 재배면적 300㏊ 목표
민관이 함께 개발한 고품질 포도 신품종 3가지가 본격 보급 단계에 들어섰다. 껍질째 먹을 수 있으면서 맛과 향에서 차별화된 '코코볼', '슈팅스타', '홍주씨들리스'로, 포도 시장의 '샤인머스켓' 편중 현상을 해소하고 농가 소득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농촌진흥청은 15일 "국내에 2015년 도입된 일본의 샤인머스켓은 높은 당도(평균 18브릭스)와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편의성으로 재배면적이 급속히 증가했다. 농진청은 이 같은 편중을 완화하기 위해 소비자 기호를 반영한 신품종 개발에 주력해왔다"며 이 같이 밝혔다.

농진청에 따르면 코코볼은 코코아 빛을 띠는 얇은 껍질이 특징이다. 껍질이 얇고 과육이 단단하며 아삭한 식감을 자랑한다. 당도는 평균 19브릭스 이상으로 높은 편이며, 송이가 성글게 달려 알을 솎는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지난햐 보급을 시작했음에도 현재 경북 영천과 상주를 비롯해 충남 천안을 중심으로 약 5㏊에서 재배 중이다.
슈팅스타는 '별똥별'이라는 뜻으로, 별빛이 흩뿌려진 듯한 독특한 껍질 색이 돋보인다. 톡 터지는 솜사탕 향과 당도 19브릭스 이상의 아삭한 식감으로 젊은 층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올해부터 상주를 중심으로 약 20t(톤)가량(재배면적 3㏊ 추정)이 출하되고 있다.
홍주씨들리스는 '씨 없는 빨간 포도'를 의미한다. 아삭한 식감에 단맛과 신맛이 적절히 어우러져 새콤달콤한 맛을 원하는 소비자가 특히 선호한다. 전체 묘목 보급으로는 약 100㏊로 추정되며, 상주와 충남 홍성을 중심으로 약 5㏊에서 재배되고 있다.

농진청은 2030년까지 세 품종의 재배면적을 총 30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자치단체, 생산자 단체, 유통업계와 협력하고 있다. 한국포도회는 묘목 보급과 현장 실증을 담당하고, 한국포도수출연합은 국내외 홍보와 수출 기반을 지원한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과 자치단체 연구진은 재배 지침서 개발과 기술 지원을 맡는다.
내년부터는 홍콩,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품종별 1t가량의 시범 수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김대현 농진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장은 "세 신품종은 소비자 기호에 맞으면서도 농가 소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며 "전문 생산단지 구축으로 생산 기반을 확보하고 재배 안정성을 높이는 연구를 지속함으로써 국산 포도 품종 다양화와 시장 확대를 이끌어가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