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정책연구원 '대구형 인구위기 대응 모델' 제시

입력 2025-10-13 16:52:07 수정 2025-10-13 20:07:54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인구감소·지방소멸 본격화 속 생애주기별 복지·정주 인프라 강화 강조

대구정책연구원이 인구감소·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일자리·주거·문화 연계형
대구정책연구원이 인구감소·초고령사회 대응을 위해 일자리·주거·문화 연계형 '대구형 인구위기 대응 모델'을 제시했다. 대구정책연구원 제공

대구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인구소멸 위험 단계에 들어서면서 지역 여건에 맞는 종합 대응 전략 마련이 절실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구정책연구원은 13일 '대구정책브리프 제24호'를 발간하고 '대구 인구위기 대응 모델과 전략'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박은희 선임연구위원과 박은선 부연구위원이 공동 수행했다.

연구진은 대구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인한 인구리스크가 본격화되고 있다며 대구시 여건에 맞는 대응 모델 구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대구 인구는 2019년부터 자연감소가 시작됐으며 2044년에는 200만명 이하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연령인구 비중도 2052년 50%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 가운데 지난해 대구의 인구소멸위험지수는 0.52로 '소멸주의 단계'에 진입했으며, 같은 해 노인인구 비율은 20.9%로 초고령사회에 들어섰다.

'대구형 인구위기 대응 모델'은 ▷인구 ▷일자리 ▷출산·양육 ▷정주공간 ▷인구친화제도 등 5대 축으로 구성된다. 연구진은 단순한 인구증가 정책에서 벗어나 '인구유입–체류–정착–귀환'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고, 인구적응 전략을 병행하는 투트랙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청년층의 결혼·출산 진입장벽 완화, 중장년층 귀향 지원, 고령층 돌봄서비스 확대 등 생애주기별 맞춤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한 산업·교육·주거·문화가 유기적으로 연계된 '직(職)-주(住)-문(文)' 구조를 구축하고 콤팩트 도시 조성과 교육발전특구 지정 등을 통해 자족형 정주 여건 강화를 제안했다.

박은희 선임연구위원은 "대구형 인구위기 대응 모델을 통해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하고, 인구구조 변화에 맞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