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층 소비 243조원…역대 최고 기록, 전체의 16.7%

입력 2025-10-12 11:16: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전년 대비 12% 증가
의료비보다 여가·문화·외식 등 삶의질 소비 확대

일하는 노인
일하는 노인

국내 노년층의 소비 총액이 역사상 처음으로 240조원을 넘었다. 고령화 추세 속에 이들이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

12일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 노년층 소비 총액은 243조8천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12.0%(26조1천억원) 증가했다.

국내 전체 소비에서 노년층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3년 16.7%로 역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소비 총액의 70.7%를 차지하는 15~64세 '노동연령층'의 소비증가율 6.3%를 크게 앞지른 수치다. 0~14세 '유년층'은 4.3% 증가에 머물렀다.

노년층 소비의 60% 이상은 개인 지출인 민간소비(150조원)로, 전년 대비 14.9% 늘었다. 이는 정부가 제공하는 복지·의료 등 공공소비가 아닌, 개인이 직접 지출한 소비를 의미한다.

특히 민간소비 중 눈에 띄는 부분은 의료비 위주의 보건 소비보다 여가·문화·외식 등 '기타 소비'가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병원비 외에 삶의 질과 관련한 씀씀이가 확연히 커졌다는 의미다.

국가데이터처는 "노년층이 우리나라의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노년층에서도 세대별 격차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노년층 전체 소비의 59.3%, 민간 자산재배분의 68.5%는 65~74세에 집중됐다. 상대적으로 자산이 많고 활동성이 높은 '젊은 노년층'이 소비와 자산 활용의 대부분을 차지한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