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직격탄을 맞은 현대차·기아의 3분기 실적에 대한 전망이 어둡다. 관세 비용이 2분기보다 커진 가운데 한미 협상 차질로 관세율 인하도 늦어지면서 영업이익 감소 폭이 커졌을 것이라고 업계는 추정한다.
9일 증권업계가 최근 2개월간 전망치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현대차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45조1천312억원, 2조6천287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3분기(매출 42조9천283억원·영업이익 3조5천809억원)보다 매출은 5.1% 증가하고, 영업이익은 26.6% 감소한 수준이다.
기아의 3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전망치는 27조9천687억원, 2조2천377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은 작년 동기(26조5천199억원)보다 5.5% 늘었고 영업이익은 2조8천813억원에서 22.3% 감소했다.
앞서 현대차의 2분기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15.8% 감소한 3조6천16억원, 기아는 24.1% 감소한 2조7천648억원이었다.
미국 관세 부담이 3분기 들어 더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까지 4월 관세 발효를 앞두고 비축했던 '비관세 재고'로 일부 대응할 수 있었지만, 3분기부터는 현지 생산량을 제외하고는 관세 부담을 온전히 떠안아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지만, 후속 협의에 난항을 겪어 여전히 25%를 적용받는 상황이다.
한화투자증권은 "인건비, 품질 비용보다 3분기 영업이익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미국발 25% 관세 영향이 반영된다는 것"이라며 "현대차는 약 15만대, 기아는 14만2천대 물량에 관세 영향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