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 건설 동향 브리핑 보고서
지난 1~8월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5천43만㎡
비수도권 착공 면적 2천273만㎡로 23.8% 감소
올해 건축 착공이 글로벌 금융위기 영향으로 경기가 침체한 2009년 이후 두 번째로 부진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7일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건설 동향 브리핑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8월 전국 건축 착공 면적은 5천43만㎡로, 2009년 같은 기간(4천160만㎡) 이후 두 번째로 작았다. 지난해 건축 착공 면적(6천73㎡)과 비교하면 17.0% 감소했다.
주거용·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30.6%, 8.6% 감소한 1천603만㎡, 3천440만㎡로 집계됐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지방)의 착공 면적은 같은 기간 각각 10.2%, 23.8% 줄어든 2천770만㎡, 2천273만㎡였다.
수도권의 경우 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이 909만㎡로 29.1% 감소했고, 비주거용 건축 착공 면적은 1천860만㎡로 3.2% 증가했다. 지방은 주거용·비주거용 착공 면적이 작년 동기 대비 각각 32.6%, 19.4% 감소한 693만㎡, 1천580만㎡를 기록했다.
건산연은 "건축공사 착공 물량이 위축되는 것은 향후 1~2년간 공사 물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9~12월 착공 물량이 회복될 가능성이 있지만, 지방의 경우 당분간 회복 여력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지방 착공 감소와 건설 투자 위축은 지역 경제에 불가피하게 큰 타격을 미칠 수밖에 없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공공 재원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 전략 사업을 유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