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DX, 선재 코일 크레인 자동운반 기술 개발…효율성·안전성↑

입력 2025-10-02 14:45: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포항제철소 내 생산시설에 점차 확대 적용 예정

크레인이 제품 출하를 위해 선재 코일을 화물차에 자동 싣고 있다. 포스코 제공
크레인이 제품 출하를 위해 선재 코일을 화물차에 자동 싣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스코그룹이 인공지능(AI) 등 자동화기술을 융합해 선재 코일을 크레인으로 자동운반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크레인 자동화 기술은 한 번에 최대 8t에 달하는 선재 코일을 정확하고 안전하게 운송할 수 있어 제철소 현장 안전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철강재를 가늘게 뽑아 나선형태로 감겨 있는 선재 코일은 크기와 포장 형태가 제각각 다른 비정형 제품이기 때문에 형상 인식이 어렵고 크레인으로 이송 시 흔들림이 심해 자동화가 어려운 영역으로 꼽혀왔다.

이에 포스코DX는 포스코와 공동으로, 영상인식 AI와 정밀 위치제어 기술 등을 융합해 이 같은 기술적 난제를 해결했다.

시스템은 우선 크레인에 부착된 라이다 센서를 통해 작업지시에 따라 출하된 선재 코일의 위치를 파악한 뒤, AI 기반의 영상인식 기술로 선재 코일의 가상의 중심점 위치를 잡아낸다.

이후 외경·내경·폭을 인식해 코일 수량에 따라 크레인의 후크가 진입할 위치와 깊이를 자동 계산하고 제어한다.

시스템을 현장 검증한 결과 ±20mm 이내의 정밀도와 99.5%의 탐지율을 나타내는 등 사람 손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적재된 코일이 쓰러져 있거나 다른 제품에 눌려 있는 환경에서도 선재 코일의 형상을 정확하게 측정해 낼 수 있어 현장의 안정성이 더 높아졌다는 평가다.

이 외에도 선재를 거는 후크의 흔들림을 미리 예측해 자동 제어하는 기술과 창고 내에서 작업자나 차량이 크레인과 충돌하는 사고를 예방하는 시스템도 구축했다.

포스코 관계자는 "자동화가 어렵다고 여겼던 비정형 제품의 크레인 자동화 기술 개발을 성공적으로 이뤄냈고 이를 제철소 전반에 확산한다면 업무효율 향상은 물론이고 사고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 AI를 활용한 DX 기술 고도화로 제조, 물류 현장의 불편을 빠르게 개선해나가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