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 라이트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정부가 리튬 아메리카 지분 5%와 네바다주 '태커 패스' 광산 프로젝트 지분 5%를 확보할 것이라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혔다.
라이트 장관은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그 광산 건설은 미국의 최선의 이익"이라며 "몇 년 안에 수입 리튬의 상당 부분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에너지부는 무상 워런트를 통해 지분을 취득한다.
리튬 아메리카는 캐나다 업체로, 미국 자동차업체 제너럴모터스(GM)와 함께 태커 패스 광산을 개발 중이다. 두 회사의 지분 비율은 62대 38이며, GM은 6억2천500만달러를 투자하고 향후 20년간 생산량의 상당 부분을 공급받을 권리를 확보했다.
앞서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해 10월 태커 패스 프로젝트에 22억달러 대출을 승인했으나, 리튬 아메리카와 GM이 조건 충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대출 구조조정 협의를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정부는 GM의 리튬 구매 보장을 요구했으나 성사되지 않았고, 결국 지분 취득 요구로 이어졌다. 리튬 아메리카는 대출금 집행을 위해 보통주 5~10% 무상 워런트를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에너지부에 따르면 태커 패스 광산이 1단계 가동에 들어가면 연간 약 4만t의 배터리급 탄산리튬을 생산해 전기차 80만대에 공급할 수 있다. 현재 미국 내 생산량은 연간 5천t 미만에 불과하다.
이 프로젝트는 미국 리튬 공급망 구축과 중국 의존도 완화를 목표로 하며, 공화당과 민주당 모두의 초당적 지지를 받고 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핵심 자원 확보를 위해 기업 지분을 직접 취득하는 또 다른 사례로 꼽힌다. 앞서 미 국방부는 희토류 광산업체 MP머티리얼스에 4억달러를 투자해 최대 주주가 됐고, 반도체법에 따라 89억달러를 투입해 인텔 지분 9.9%를 확보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