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후조리원 비용 치솟는데…대구 '반값' 공공산후조리원 전무

입력 2025-10-01 16:12:29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구 산후조리원 비용 4년 새 237만원→299만원

대구의 산후조리원 평균 가격이 4년 새 30% 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지난해 산후조리원 12곳을 비롯, 폭리를 취한 영어유치원과 결혼 준비 서비스 업체 등 46곳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의 산후조리원 평균 가격이 4년 새 30% 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이 지난해 산후조리원 12곳을 비롯, 폭리를 취한 영어유치원과 결혼 준비 서비스 업체 등 46곳을 대상으로 세무조사를 한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대구의 산후조리원 평균 가격이 4년 새 30% 가까이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출산 가정 부담이 커지는 가운데 민간의 절반 수준의 가격으로 운영되는 공공산후조리원은 대구에 한 곳도 없었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구의 산후조리원 평균 가격은 지난해 299만원으로 가장 비싼 곳은 600만원에 달했다. 2020년만 해도 237만원 수준이었던 평균 가격은 매년 가파르게 늘면서 4년 새 26.2% 인상됐다.

대구의 경우 산후조리원 가격이 해마다 치솟는 와중에도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공공산후조리원은 한 곳도 없었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대구 산후조리원은 21곳으로 모두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산후조리원은 지난해 기준 평균 요금이 175만원으로 민간 산후조리원 평균 요금(335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이 때문에 공공산후조리원이 있는 지자체의 경우 추첨으로 입소자를 선정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

전국 공공산후조리원은 모두 21곳으로 7개 특‧광역시의 경우 서울과 울산에서 각각 2곳, 1곳이 운영 중이다.

공공산후조리원은 비교적 넓은 면적에 인프라가 열악한 농촌 지역에 집중됐다. 경북의 경우 3곳이 운영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공공산후조리원 확대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박 의원은 앞서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와 운영, 취약계층 이용요금 감면에 따른 경비를 국가가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모자보건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박 의원은 "산후조리시설에 대한 임산부의 수요와 경비 지원에 대한 요구가 높지만 어느 지역에 사느냐에 따라 산후조리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크다"며 "산후조리 지원에 대한 국가 역할을 강화하는 등 정책 전반에 대한 공공성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