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이목이 집중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頂上會議)가 31일 개최된다. 이번 행사는 이재명 대통령이 주도하는 첫 다자(多者) 정상회의로서 한국의 국격과 국익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 회원국 정상 대부분이 참가할 예정인 만큼 경제·통상·안보·미래 관련 공동 합의가 나올지 주목된다.
올해 의장국인 한국은 '인공지능(AI) 협력' '인구구조 변화 대응'이란 두 가지 핵심 의제(議題)를 제시했다. APEC이란 경제 공동체가 경제 발전과 번영을 위해 두 의제에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하자는 것이다. 아울러 트럼프 정부의 관세 압박이 상징하는 보호주의·자국 중심주의 기류와 APEC의 기본 정신인 '자유무역 질서'가 어떤 절충점(折衷點)을 찾을지도 관심사다. 북핵 등 안보 문제는 APEC의 주요 주제는 아니지만, '동북아 안정이 경제 발전의 전제 조건'이란 점에서 중요하다.
이재명 대통령이 정상회의 의장으로서 미중을 중재(仲裁)하고 각국의 의견을 조율해 합의 문서('경주 선언')를 도출한다면,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정상회의는 '동결·축소·비핵화' 3단계 북한 핵 문제 해법에 대한 주요국 정상들의 지지를 이끌어 내는 기회이기도 하다. APEC 정상회의를 전후해 열릴 한미·한중 정상회담도 중요하다. 특히 한미 정상회담은 관세·비자·대미(對美) 투자 협상과 동맹 현대화·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비롯한 안보 문제 등에 대한 양국의 이견(異見)을 좁힐 수 있는 계기가 돼야 한다. 정부는 외교 역량을 총동원해 국익을 최대한 확보해야 할 것이다.
행사 준비는 완벽(完璧)해야 한다. 정상회의장을 비롯한 주요 시설은 물론 교통·숙박·의전·경호·진행 등 어느 한 곳에서도 허점이 드러나면 안 된다. 전 세계 3천여 명의 기자들과 많은 국내외 관광객들이 경주를 찾는다. 경주 시민들의 환대(歡待)와 시민의식이 빛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