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운문천댐·용두천댐 건설 추진 백지화된다

입력 2025-09-30 14:10:2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환경부, 기후대응댐 14곳 중 7곳 중단
운문댐 수위 복원·양수발전댐 활용 추진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7일 구미 해평취수원을 방문해 구미권 광역 및 공업용수도 현황과 해평·구미광역 취수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논의를 했다. 이영광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7일 구미 해평취수원을 방문해 구미권 광역 및 공업용수도 현황과 해평·구미광역 취수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취수원 이전과 관련해 논의를 했다. 이영광 기자

윤석열 정부 때 건설을 추진하기로 한 경북 운문천댐(청도)과 용두천댐(예천)이 백지화된다.

환경부는 30일 윤석열 정부 시절인 지난해 7월 발표된 기후대응댐 신설 후보지 14곳 중 7곳의 건설 추진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중단 대상에는 운문천댐과 용두천댐을 비롯해 ▷수입천댐(강원 양구) ▷단양천댐(충북 단양) ▷옥천댐(전남 순천) ▷동복천댐(전남 화순) ▷산기천댐(강원 삼척) 등이 포함됐다.

나머지 ▷감천댐(경북 김천) ▷지천댐(충남 청양·부여) ▷아미천댐(강원 연천) ▷가례천댐(경남 의령) ▷고현천댐(경남 거제) ▷회야강댐(울산) ▷병영천댐(전남 강진) 등 7곳은 댐 규모나 종류 등 추가 공론화를 통해 건설 여부와 방식을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용수전용으로 계획된 운문천댐(660만톤)과 홍수 조절 목적 용두천댐(220만t)을 새로 짓는 대신 다른 대안이 더 낫다고 판단했다. 운문천댐은 기존 운문댐 안에 추가로 지으려던 계획이었으나, 홍수 우려로 낮췄던 댐 운영수위를 복원하고 하류 하천정비를 마치면 댐을 새로 건설하지 않고도 용수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검토됐다.

용두천댐은 후보지 인근에 한국수력원자력이 관리하는 900만t 규모 양수발전댐이 있는데 여기에 수문 등을 설치해 홍수조절용으로도 쓴다는 구상이다. 이렇게 하면 사업비는 3분의 1로 줄고 홍수조절 용량도 커진다.

환경부는 14개 후보지 중 7개 추진 중단으로 사업비가 약 4조7천억원(추정) 규모에서 2조원 수준으로 줄어든다고 밝혔다. 그러나 애초 계획상 총 3억2천만t이었던 14개 후보지 총 저수용량은 중단되는 7곳을 뺀 나머지 7곳을 전부 지어도 약 1억5천만t 규모로 줄게 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홍수와 가뭄에 도움이 안 되고 지역 주민도 원하지 않는 신규 댐 설치 추진 폐기'를 공약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7월부터 댐 필요성, 적정성, 지역 수용성에 대한 정밀 재검토에 착수했다. 그 결과 전 정부 계획은 댐 신설 발표 후에 주민 설명회를 하거나, 하천정비 등 다른 대안보다 댐 신설을 우선하는 등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했다.

공론화할 김천 감천댐은 지역 내 찬반 의견이 여전히 첨예해 기본구상에서 댐 백지화, 홍수조절댐, 추가 하천정비 등 대안을 열어놓고 검토해 최종 결정할 계획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신규 댐 건설보다 기존 댐 관련 시설을 최대한 활용해 기후위기에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계 마련에 주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