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료 인하·세금 차등'…경북 상공계, 생존 위한 특단책 꺼내들었다

입력 2025-09-30 17:06:53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철강·2차전지·자동차 '삼중고'…포항제철소, 건립 이래 최대 위기
"원전 밀집 경북에 역차별"…법인세·상속세 차등 적용도 건의
10개 상의 결의문 채택…"지역경제 회복 위해 최일선에 설 것"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 회장.

경북 지역 상공인들이 고사 위기에 처한 제조업을 살리기 위해 정부와 국회에 특단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는 30일 결의문을 내고, 원전이 밀집한 경북의 산업용 전기요금을 인하하고 비수도권에 법인세·상속세 등을 차등 적용해달라고 강력히 촉구했다.

대외적으로 미·중 무역 갈등과 미국의 고율 관세 정책이, 대내적으로는 경직된 노동시장과 인력난, 내수 침체 등이 겹치며 지방 경제가 더 심각한 상황에 부닥쳤다.

특히 경북의 주력 산업이 직격탄을 맞았다. 철강 도시 포항은 글로벌 공급과잉, 중국의 저가 공세, 미국의 50% 관세 부과 조치로 포항제철소 건립 이후 가장 큰 위기를 맞았다.

실제로 포스코 포항제철소 일부 공장과 현대제철 포항공장이 문을 닫으면서 협력사는 물론 지역 소상공인까지 연쇄 충격을 받고 있다. 전기차 시장 성장세 둔화 현상으로 포항과 구미의 2차전지 기업 가동률도 대폭 떨어진 상태다.

이에 구미, 포항, 경주 등 경북 10개 상공회의소로 구성된 협의회는 위기 극복을 위한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했다.

핵심 요구는 '산업용 전기요금 인하'다. 이들은 경주 월성, 울진 한울 등 주요 원자력발전소가 가동돼 국가 전력 공급에 중대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정작 지역 내 에너지 다소비형 제조업체들은 과도한 전기료 부담을 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구미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립이 예정돼 전력 수요가 더 늘어날 것인 만큼, 전기요금 인하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수도권과의 불균형 해소를 위한 세제 개편도 건의했다. 경영 및 투자 여건이 열악한 비수도권에 투자를 촉진하고 인구를 유입시키기 위해 법인세, 상속·증여세, 근로소득세를 차등 적용해달라는 것이다. 또 위기에 빠진 철강·2차전지 산업 지원을 위한 'K-스틸 특별법'과 '2차전지산업 육성 지원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도 호소했다.

지역 상공인들도 자구 노력을 약속했다. 도내 상공인들은 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힘쓰고, 신뢰에 기반한 노사관계를 구축해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아울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지역 소상공인과 상생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윤재호 경북상공회의소협의회장을 비롯한 10개 상의 회장들은 "위기 극복과 지역경제 재도약을 위해 한마음 한뜻으로 모든 역량을 결집할 것을 엄숙히 선언한다"며 "정부와 국회, 지자체의 정책적 지원과 모든 경제 주체의 동참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