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신문 독립성·공공성 높일 수단이자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키울 수
박수현 의원 "수도권 중심 언론환경 개선하는 마중물로 입법 노력할 것"
경영난과 독자기반 약화라는 이중고에 시달리는 지역신문을 살릴 미디어바우처법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국회에서 이뤄졌다. 전문가들은 미디어바우처 제도의 순기능에 주목하는 한편 추가적인 지역신문 지원책 필요성에 대해서도 공감대를 확인했다.
25일 박수현·김윤덕·손솔·양문석·이기헌·이학영·임오경·전현희·조계원 의원과 한국지방신문협회·한국지역신문협회가 공동주최한 이번 행사는 미디어바우처에 대한 논의의 장으로 마련됐다.
미디어바우처는 정부가 시민에게 일정 금액의 바우처를 지급하면 이것으로 각자 원하는 언론을 후원하는 제도다. 특히 지역신문의 독립성·공공성을 높일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현재 관련법이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위에서 심사 중이다.
발제에 나선 이용성 지역신문발전위원은 미디어바우처 도입 필요성과 해외 사례 등을 소개하며 재원 및 지원 방식 등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김선호 한국언론재단 책임연구위원은 "정치 편향적·피상적 뉴스 소비 문제, 뉴스 회피현상 등을 고려해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는 수단으로도 바라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동관 한국지방신문협회장(매일신문 사장)은 "이런 토론회가 마련됐다는 사실이 풀뿌리 민주주의 근간인 지역신문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방증한다"면서 "수도권 집중 속에 지역사회를 뒷받침하는 지역 언론들도 점차 죽어간다. 미디어바우처법은 물론 다른 특단의 대책들이 강구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사를 주관한 박수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미디어바우처가 수도권 중심의 언론환경을 개선하는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며 "입법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