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13개월 연속 증가…7월 혼인 건수 9년 만에 최다

입력 2025-09-24 12:05:31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7월 출생아 수 4년 만에 최다…혼인 건수 16개월째 증가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혼인 증가와 월별 출생아 수가 13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달 기준 7월 출생아 수는 4년 만에, 혼인 건수는 9년 만에 가장 많았다.

통계청이 24일 발표한 7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지난 7월 출생아 수는 1년 전보다 1천223명(5.9%) 늘어난 2만1천803명이었다.

월별 출생아 수는 올해 1월부터 2만명대를 유지해오다 6월에 주춤했으나, 한 달 만에 다시 회복했다.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7월 기준 출생아 수는 2021년(2만2천364명) 이후 가장 많다.

다만, 1981년 통계 작성 이래로는 2023년(1만9천85명) 등에 이어 역대 네 번째로 적었다.

올해 1∼7월 누계 출생아 수는 14만7천804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했다.

1∼7월 누계 출생아 수가 증가한 것은 2015년 이후 10년 만이고, 증가 폭은 통계 작성 이래 가장 크다.

출생아 수는 작년 7월부터 13개월째 증가하고 있다.

전반적인 혼인 증가, 정부의 각종 출산 지원 정책, 30대 초반 여성 인구 수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7월 합계출산율은 0.80명으로 1년 전보다 0.04명 증가했다. 합계출산율은 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부산 등 13개 시도에서는 출생아 수가 늘었고 광주·세종 등 4개 시도는 줄었다.

출산 순위별 비중을 보면 첫째아(61.9%)는 1.6%포인트(p) 상승했고, 둘째아(31.4%)와 셋째아 이상(6.7%)은 각각 1.6%p, 0.1%p 하락했다.

7월 혼인 건수는 1년 전보다 1천583건(8.4%) 증가한 2만394건이었다.

같은 달 기준 2016년 7월(2만1천154건) 이후 9년 만의 최고치다. 혼인 건수는 작년 4월 이후 1년4개월째 늘고 있다.

7월 사망자 수는 2만7천979명으로 1년 전보다 200명(-0.7%) 줄었다.

7월 이혼 건수는 113건(-1.4%) 감소한 7천826건이었다.

올해 1월부터 7개월 연속 감소세고,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의 영향을 받은 1998년 이후 세 번째로 작은 수치다. 그 이전에는 2023년(7천497건), 2022년(7천534건)이 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웃돌면서 7월 인구는 6천175명으로 자연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