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진 도의원, 경북 미래 4대 핵심과제 제안

입력 2025-09-24 11:08:18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혁신도시 광역 협의체·아동보호구역 확대 등 도정질문

경북도의회 조용진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경북도의회 조용진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용진 도의원(김천·국민의힘)은 지난 23일 열린 제358회 임시회 본회의 도정질문에서 경북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4대 핵심 과제를 제안했다.

조 도의원은 ▷혁신도시 협의체의 광역화와 리턴인재 역차별 해소 ▷아동범죄 예방을 위한 '아동보호구역' 확대 ▷지역산업 맞춤형 고졸 인재 육성 로드맵 수립 ▷교육정책 협력 강화를 위한 퍼실리테이터 제도 신설을 촉구했다.

조 도의원은 김천 율곡동 경북 혁신도시의 현황을 언급하며, 기초자치단체 중심 협의체의 한계를 지적했다.

그는 "혁신도시는 김천만의 과제가 아니라 경북 전체의 과제이며, 전국 10개 혁신도시가 안고 있는 공통 문제"라며 광역 단위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또한 지역인재 채용 제도가 '최종 졸업학교 소재지'를 기준으로 해, 경북에서 초·중·고를 다닌 뒤 수도권 대학을 졸업한 인재가 지역인재로 인정받지 못하는 불합리함을 "리턴인재 역차별"이라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최근 잇따른 아동 범죄 사건을 언급하며, 조 도의원은 교통사고 예방 중심의 '어린이보호구역'과 달리 범죄 예방에 초점을 둔 '아동보호구역' 지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도내 488개 초등학교를 경북도·교육청·경찰청이 3자 협약을 맺어 일괄 지정해야 한다"며, 자치경찰위원회 내 아동범죄 예방 전담팀 신설과 등·하굣길 집중 순찰 제도화를 제안했다.

조 도의원은 특성화고 교육이 여전히 산업 현장과 괴리돼 있다고 지적하며, "취업률뿐 아니라 정착률·임금 수준·승진률까지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각 시·군 전략산업에 맞춘 '산업별 고졸 인재 로드맵'을 수립하고, 기업 수요 조사·교육과정 개편·현장실습 제도화·정착 지원 프로그램 등을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조 도의원은 도청·교육청·시군 간 협력 부족을 지적하며 '교육정책 협력 퍼실리테이터' 제도 신설을 건의했다.

그는 "예산 매칭, 성과 관리, 갈등 조정까지 담당할 전문 실무자가 필요하다"며, 단계별 도입 전략을 제시했다.

그러면서 조 도의원은 "이번 제안은 단순한 문제 제기가 아니라 도민의 안전과 청년 정착, 교육 혁신을 위한 구체적 대안"이라며, "경북의 미래 경쟁력을 높이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