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과 복지가 만나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25년 심포지엄 현장

입력 2025-09-23 20:35:3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25년 정기 심포지엄, 연극과 복지의 접점 모색
발제·토론으로 연극인의 복지와 사회적 역할 조명
4개 발제와 토론, 연극과 사회의 복지를 심층 진단

한국연극평론가협회가 최근
한국연극평론가협회가 최근 '연극을 위한, 연극에 의한, 연극의 복지'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 제공

연극은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자, 사회는 연극의 울타리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는 올해 정기 심포지엄에서 복지를 매개로 연극과 사회의 관계를 탐구했다.

한국연극평론가협회는 지난 19일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센터에서 '연극을 위한, 연극에 의한, 연극의 복지 - 연극인의 복지, 관객의 복지, 사회의 복지'를 주제로 2025년 정기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이화원 회장과 배선애, 이주영 이사가 기획했으며, 연극과 사회의 복지적 역할을 심도 있게 다뤘다.

행사에선 4개의 발제가 이어졌다. 극단 노을 오세곤 대표는 "연극과 복지, 법과 현실의 간극을 찾아서"를, (재)한국연극인복지재단 한송이 사무처장은 "연극인의 복지, (재)한국연극인복지재단의 지향점과 성과를 중심으로"를 주제로 발표했다. 독립기획자 김민솔은 "연극, 모두의 복지를 담는 공간"을, 나경민 선문대 교수는 "우리들의 동료 배우 김운하 배우가 떠난 뒤 10년, 무엇이 바뀌었는가"를 발제로 제시했다.

이어 윤기훈 상명대 교수, 김미희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전지니 한경대 교수, 이예은 동덕여대 교수가 토론에 참여했다. 관객과의 대화도 더해지며 현장의 열기를 높였다.

이화원 회장은 "연극 현장과 사회적 필요에 보다 관심을 기울여 관객과 배우, 예술인 및 스태프 등 사회를 아우르는 복지를 조명한 이번 심포지엄을 계기로 우리 연극과 사회가, 복지로 나아가는 데에 조금이나마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심포지엄에는 한국연극평론가협회 회원뿐만 아니라 한국연극협회 손정우 이사장, 한국연극인복지재단 지춘성 상임이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 극장 관계자 등 연극계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