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열풍에 농식품 수출 활황… 올해 수출 최대치 경신

입력 2025-09-22 16:14:02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8월 농식품 수출액 67억1천500만달러, 1년 새 5.1% 증가
지난해 연간 99억8천만달러 기록, 올해는 105억달러 목표

22일 서울 중구의 한 대형마트 매장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 등 K-푸드 상품을 고르고 있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농식품 누적 수출은 67억1천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22일 서울 중구의 한 대형마트 매장에서 외국인 관광객들이 과자 등 K-푸드 상품을 고르고 있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농식품 누적 수출은 67억1천5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연합뉴스

한류 열풍에 힘입어 'K-푸드' 입지가 넓어지면서 올해 농식품 수출 규모가 사상 최대 기록을 다시 쓸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농림축산식품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농식품 누적 수출은 67억1천500만달러(약 9조4천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라면이 9억7천800만달러(약 1조4천억원)로 작년 동기보다 22.3% 증가했다. 이어 과자류 4억9천800만달러, 소스류 2억7천300만달러, 쌀 가공식품 1억8천300만달러, 김치 1억1천만달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빠르게 늘어난 건 드라마·영화 등 K-컬처 열풍을 타고 라면과 쌀 가공식품, 김치 등 품목이 해외에서 고루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냉동 김밥, 떡볶이, 냉동떡, 간편 가공밥 등과 같은 쌀 가공식품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김치의 경우 건강한 발효식품으로 주목받으면서 미국과 유럽에서 소비가 늘고 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으로 수출한 금액이 12억500만달러로 작년 동기 대비 17.8% 늘었다. 2위 중국은 10억1천700만달러로 6.1% 증가했고, 3위 일본은 8억7천400만달러로 2.9%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다만 K-푸드 수출 증가세는 올해 하반기 들어 미국 관세정책 여파로 주춤한 상황이다. 지난달 대미 농식품 수출은 1억3천200만달러로 작년 같은 달보다 4.4% 감소했다.

정부는 농식품 수출을 올해 105억달러(약 14조5천억원), 2030년 150억달러로 늘린다는 목표다. 지난해 농식품 수출은 99억8천만달러를 기록했다. 농식품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선 미국·중국·일본 3국에 집중된 수출을 중동·중남미 등 시장으로 다변화하는 동시에 품목을 넓혀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