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 폭탄에 긴장 높아진 빅테크…아마존·MS·구글 타격 불가피

입력 2025-09-22 17:40:00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전문직 비자(H-1B) 수수료를 1인당 10만 달러(약 1억4천만원)로 대폭 인상하기로 결정하면서 빅테크 기업들이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백악관은 대폭 인상되는 이번 수수료가 신규 비자에만 적용되고 기존 비자 소지자의 미국 출입국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이번 제도의 적용과 집행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 전역 기업들에 혼란과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와 구글, 아마존 등은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19일 밝힌 새로운 비자 규정이 발효되기 전에 미국으로 돌아오고 출국 계획은 취소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기업과 이민 전문 변호사들은 H-1B 비자 소지자들에게 신중히 행동할 것을 조언하고 있다. MS는 지난 19일 트럼프 행정부 발표 이후 자사의 H-1B 비자 직원들에게 "당분간 미국 내에 체류해야 한다"고 안내했다.

비자 소지자들은 갑작스러운 규정 변경에 충격을 받고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구글의 한 직원은 가족 방문을 위해 계획했던 도쿄 여행을 백악관 발표 이후 취소했고, 아마존은 H-1B 소지자의 배우자와 자녀에게 발급되는 H-4 비자 보유자들에게도 미국에 머물 것을 권고했다.

USCIS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시작된 2025 회계연도에 들어서 올해 6월 30일까지 가장 많은 H-1B 비자를 할당 받은 기업은 '아마존닷컴'으로 1만44명에 달한다.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아마존개발센터US'까지 합치면 아마존의 올해 H-1B 비자 할당은 1만4천명을 넘는다. 또 IT 서비스·컨설팅 기업 '타타 컨설턴시'(5천505명), MS(5천198명분), 메타(5천123명분), 애플(4천202명분), 구글(4천181명분)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