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압박' 조희대 "법은 통치수단 아닌 백성 삶 향상시키는 토대"

입력 2025-09-22 10:29:27 수정 2025-09-22 10:48:1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조희대 대법원장이 2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조희대 대법원장이 22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세종 국제 콘퍼런스'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조희대 대법원장이 "세종대왕께서는 법을 왕권 강화를 위한 통치 수단이 아니라 백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그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규범적 토대로 삼으셨다"며 이 같이 강조했다.

22일 대법원이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연 '2025 세종 국제 콘퍼런스' 개회사에서 조 대법원장은 "백성을 중심에 둔 세종대왕의 사법 철학은 시대를 초월하여 오늘날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사법의 가치와도 깊이 맞닿아 있다"며 세종대왕의 법철학을 주제로 한 국제 학술대회 개최의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정의와 공정이 살아 숨쉬는 미래를 함께 열어갈 지혜를 나눌 수 있길 기대한다"며 "법이 진정으로 모든 사람에게 공평하게 적용되고,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장되는 방안 함께 모색해 나가자"고 제언했다.

또한 "법조인은 인간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에 관한 사건을 다루고 더 나아가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할 숭고한 책무를 맡고 있다"며 "그러므로 무엇보다 인간에 대한 깊은 존중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섬세한 감수성을 갖추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오늘날처럼 세계 곳곳에서 갈등과 분열이 심화되고 인공지능의 비약적 발전이 불러올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시대에, 인류 모두가 측은지심을 바탕으로 인간성을 회복하고 인본주의적인 법을 통하여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지켜냄으로써 공동체의 안정과 평화를 추구하는 일은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고 덧붙였다.

이어 "법조인은 모든 사건을 한결같이 성심을 다해 처리해야 할 책무를 지니고, 변함없이 꾸준한 노력이 요구된다"고도 당부했다.

이 외에도 조 대법원장은 "인공지능을 비롯한 첨단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속에 사건 처리의 효율성과 편의성 크게 향상되는 긍정적 성과를 경험하고 있지만 동시에 기술 의존으로 인한 판단 오류와 법적 책임의 불명확성, 그리고 판단의 공정성에 대한 새로운 의문 같은 도전적 과제 직면하고 있다"며 "(이날 행사가) 인공지능과 사법의 미래에 대한 논의의 장 되길 기대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이어 "비록 시대와 국가 그리고 언어와 제도가 서로 다를지라도, 우리 인류가 함께 지향하는 법치주의의 이상은 곧 우리 모두가 공유하는 보편적 가치"라며 "이를 토대로 우리는 더욱 정의롭고 공정한 사회 열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