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건설사들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첨단 안전관리 장비와 시스템을 꾸리고 있다. 그러나 광범위한 건설 현장과 다양한 공종 과정 등을 요하는 현장 특성상 사고를 원천 차단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첨단 관제 시스템 갖춰 산업재해 근절
2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 대부분은 통합 관제 센터 성격의 조직을 운영하고 있다. 이곳에선 자사가 시공하는 전국 건설 현장의 위헙 요소를 폐쇄회로(CC)TV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건설사들은 전국 건설 현장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중대재해로부터 근로자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DL이앤씨는 본사에 통합관제시스템(VMS)를 구축했다. 각 사업장에 설치한 CCTV 등 전국 현장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또 안전사고와 위험요소 개선 현황, 안전경영 이행률 등을 대시보드로 시각화했다. 특히 본사와 현장 간 원할한 소통을 위한 핫라인도 구축해 보다 빠른 대응이 가능토록 했다.
현대엔지니어링도 CCTV 안전관제센터를 운영 중이다. 안전 위반 사항이 적발될 경우 즉시 현장 작업을 중단하고, 현장에서 위해 요소를 제거한 뒤 본사 승인을 거쳐야 작업을 새롭게 시작할 수 있도록 규정을 마련했다.
안전상황센터를 운영 중인 대우건설은 드론 공간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은 물론 향후 첨단 인공지능(AI) 영상 분석 기술을 활용해 안전모, 안전벨트 미착용 경고 시스템 등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근로자 체온, 심박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스마트 밴드, 에어백 안전조끼 등을 전 현장을 대상으로 보급 중이다.

◆근로자 중심 건설 안전망 구축
건설사들은 근로자들이 위험 징후를 발견할 빠르고 손쉽게 작업중지권을 가동할 수 있도록 독려하는 시스템도 확대하고 있다. 본사 등 모니터링 시스템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현장에서의 위험을 근로자가 직접 통제할 수 있도록 해 산업재래로부터 보다 촘촘한 감시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DL이앤씨는 작업자 안전모나 휴게실 등에 부착된 QR코드로 현장 위험요소를 손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안전신문고 시스템을 개편했다. 또 안전 관련 신고를 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점을 제안한 근로자에게는 쇼핑몰, 카페 등에서 현금처럼 쓸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한다.
대우건설도 자체 개발한 안전관리 애플리케이션(앱) '스마티'로 간편하게 작업중지권을 발동할 수 있게 하는 등 관련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근로자 작업환경 개선도 힘쓰고 있다. GS건설이 개발한 '자이 보이스'가 대표적으로, 건설 관련 전문용어를 포함한 한국어를 120여개 외국어로 실시간 번역할 수 있다.

이처럼 건설사들이 각종 노력에도 근본적으로 사고를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보니 업계는 고민이 크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마트 안전기술은 사실 자본력이 있는 대형사 중심으로 되고 있어 중소영세 건설사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며 "기술만으로 모든 현장의 사고를 차단하기엔 역부족이다. 근로자 개개인의 안전의식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이 근로복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살펴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 6월까지 시공능력평가 상위 2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승인 건수는 2만94건에 이른다. 이 중 사망자는 210명, 부상자는 1만9천884명으로 조사됐다.